2020년에 기억해야 할 인물 (4)

탄생 250년 주년 맞는 헤겔 ②

독일 근대철학의 최고봉이자 변증법 철학자 헤겔(8월 27일)과 고전파 음악의 최고봉으로 평가받는 악성(樂聖) 베토벤(12월 17일)이 2020년 나란히 탄생 250주년을 맞는다. 헤겔 앞에 칸트가 있었다면 베토벤 앞에는 모차르트가 있었다. 이 둘은 칸트와 모차르트라는 찬란한 성취를 극복하기 위한 지난한 노력으로 각각 철학사와 음악사에서 전인미답의 경지를 개척했다.

두 사람은 젊은 시절 가장 큰 영향을 받은 사건과 인물이 프랑스혁명과 나폴레옹이었다는 공통점도 있다. 헤겔은 1806년 나폴레옹을 보고 “세계정신을 봤다”고 했으며 매년 바스티유 감옥이 함락된 날이 되면 와인으로 자축했다. 베토벤이 가장 아꼈던 3번 교향곡은 원래 나폴레옹을 염두에 두고 작곡한 것이었으나 1804년 나폴레옹이 황제가 됐다는 얘기를 듣고 ‘에로이카(영웅)’로 제목을 바꿨다.

독일 관념철학을 완성한 헤겔(Georg Wilhelm Friedrich Hegel)

‘헤겔은 일반 교육을 받은 모든 사람들이 한번쯤은 들어본 대표적인 독일 철학자아다. 그의 철학은 마르크스 역사 이론의 선조이지만, 유물론자인 마르크스와는 달리, 실재는 궁극적으로 정신이라고 생각했다는 점에서, 그리고 정립/반정립/종합의 과정에 따라 실재가 발전한다고 생각했다는 점에서 그는 관념론자였다.

또한 그는 프로이센 국가 체제를 찬양하여, 그것이 신의 작품이며 완벽하고 인류 역사 전체의 절정이라고 주장했다. 프로이센의 모든 국민은 무조건 국가에 충성할 의무가 있으며, 국가는 국민을 원하는 대로 취급할 수 있다. 절대자라는 거창한 이름으로 불린 무언가를 찬양함으로써 헤겔은 독일 민족주의, 권위주의, 군국주의 형성에 크게 기여했다고 비판받기도 한다.

헤겔 철학에 대한 일반적 평가는 독일 관념론의 거성인 칸트 철학에서 출발하여 이를 마무리 지었다고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칸트 철학의 근간은 인식론이며 이를 기초로 하여 칸트는 소위 ‘심리 철학’, 윤리학 그리고 우주론과 신학에 접근하였다. 칸트의 인식론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개념은 인식의 주체인 ‘자아’인데, 자아의 문제와 관련하여 헤겔은 칸트 철학의 한계성을 극복하고자 노력하였다.

헤겔은 ‘개념’의 문제, 다시 말해 인간 사유의 산물 자체를 독자적인 그 무엇으로 간주한 것에서 칸트의 인식론을 계승한 것이 아니라 다른 방향에서 인식론에 접근하였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헤겔의 변증법

헤겔은 정반합(正反合)의 개념으로 변증법을 정형화 하였다. 헤겔의 이러한 변증법은 후 일 헤겔 좌파 철학자들을 거쳐 카를 마르크스에게 영향을 주었다. 변증법은 만물이 본질적으로 끊임 없는 변화 과정에 있음을 주창하면서 그 변화의 원인을 내부적인 자기부정, 즉 모순에 있다고 보았다.

원래의 상태를 정(正)이라 하면 모순에 의한 자기부정은 반(反)이다. 만물은 이 모순을 해결하는 방향으로 운동하며 그 결과 새로운 합(合)의 상태로 변화한다. 이 변화의 결과물은 또다른 변화의 출발점이 되고 이러한 변화는 최고의 지점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된다.

절대 이성

헤겔에게 절대 이성은 변증법에 의해 도달되는 최고의 지점, 즉 더 이상 변화될 필요 없는 최고의 위치를 뜻한다. 얼핏 보면 헤겔의 변증법적 운동과 고정화된 절대 정신은 상충되는 맥락이 있지만, 이러한 헤겔 철학의 전제에는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이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헤겔은 아리스토텔레스로부터 노에시스 노에세오스(noēsis noēseōs)개념을 차용하여 절대 이성은 순수 사유지만, 동시에 자기 자신을 사유하는 사유로서 이러한 모순점을 논리적으로 해결하고자 하였다.

역사의 종말

헤겔은 세계사를 절대정신(이성)이 자유를 향해 나아가는 과정이라고 정의하였다. 헤겔은 인간의 역사 역시 변증법적 발전을 겪는다고 파악하였으며 그 결과 이성이 최고의 발전 단계에 이르러 더 이상의 변화가 필요 없는 상태를 역사의 종말이라 명명하였다.

헤겔은 당대 독일이 역사의 종말 단계에 들어섰다고 주장하였다가 많은 비판에 직면하기도 하였다. 이 개념은 나중에 프란시스 후쿠야마의 유명한 논문에 등장한 후 동명의 책으로도 출판되었다.

헤겔과 법철학

법은 객관적 정신의 즉자적(卽自的 : an sich) 현실화인 저차원 단계의 것으로서, 참다운 자유를 목표로 하여 도덕의 단계, 다시 도의태(道義態)의 단계로 변증법적인 발전을 하여 간다. 이 도의태의 단계에서 정신은 사랑〔愛〕의 공동체인 가족으로부터 그것의 부정인 개인주의적 이익 공동체로서의 시민사회로 전진하고, 다시 시민사회의 부정을 매개로 하여 국가라는 최고의 단계에 변증법적으로 발전하여 간다.

이 국가라는 완성 단계에서 정신은 완전한 자기실현(보편적 자유)을 얻는다. 국가를 이념과 현실의 완전한 합치, 최고 최종의 것으로 보는 헤겔의 사상은 국가 절대주의에 빠지고 당연히 국제법 질서까지도 부정한다.

이성의 간계

이성의 간계(List der Vernunft)는 반이성적인 정열이 세계사를 진행하는 힘이 되지만 사실은 세계 이성(世界理性)이 자신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이를 이용하고 있음에 불과하다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헤겔의 대전제는 역사가 이성적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이성의 간계를 언급할 때는 역사가 이성적임에 못지않게 정념적임을 강조한다. 즉 역사는 어떤 기계적 법칙에 따라 자동적으로 굴러가는 수레바퀴라기보다 개인의 특수한 욕망과 이기심에 의해 펼쳐지는 정념의 드라마다. 역사의 보편적 논리는 이런 정념의 드라마 속에서, 그 드라마의 주인공들이 갈등하고 소멸하는 운동 속에서 비로소 모습을 드러낸다. 그러므로 역사는 논리와 정념을 씨실과 날실로 하는 양탄자다.

헤겔이 ‘이성의 간계’라는 말로 표현하고자 했던 것 중의 하나가 역사적 행위의 주체가 감당해야 하는 불행이다. 위대한 역사적 성취에도 불구하고 불행한 삶을 살아야 하는 운명이고 보면 그 주체는 무언가 숨겨진 계책의 수단이나 희생물에 불과한 것처럼 보이는 것이 사실이다. 역사적 위인이 죄 없는 꽃들을 무수히 짓밟으며 앞으로 나아가는 것처럼, 세계정신은 선악의 저편에 있는 역사적 위인들을, 그리고 그들이 속한 민족들을 무수히 짓밟아 뭉개며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2020년 2월 7일, 1157호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