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독일의 현대건축 ➀

문화사업단은 독일의 현대건축을 주제로 4회에 걸쳐 유겐트스틸, 바우하우스(Bauhaus), 제3제국시대의 건축에 관해 살펴보게 된다.

‘현대’라는 단어는 시대구분에 있어 가장 모호한 용어로서 일반적으로 정의내려진 바 가 없다. 그러나 오늘날의 양식들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그 연장선상에서 오늘날의 양식이 이어져 올 경우 크게 1900년대 전체를 ‘현대’라는 시기구분 용어를 사용하는 예에 따라 문화세상에서는 1900년대 초반부터 1940년대까지 이어온 독일의 건축양식을 현대 독일건축이라 칭하며 살펴보도록 한다.


유겐트스틸(Jugendstil)

산업혁명 이후 기술 발전으로 미술품의 대량생산이 가능해졌지만 진정한 예술이 파괴되었다고 자각한 예술가들은 수공예와 중세 장인 세계를 동경하며 미술과 공예운동을 일으키게 되었는데 이것이 바로 아르누보(신예술 Art Neuveau)가 발생하게 된 기틀이 되었다.

아르누보는 자연에서 유래된 아름다운 곡선을 디자인의 모티브로 삼는데 예를 들어 공작의 형태, 파도나 포도덩쿨의 줄기, 백조, 꽃봉오리 등이 그것입니다. 주로 곡선을 사용하여 식물을 모방한 까닭에 ‘꽃의 양식’, ‘물결의 양식’, ‘당초양식’ 등으로 불려지고 있다.

이러한 유럽의 아르누보 사조가 독일에서는 유겐트스틸이라 불리게 되었는데 그 기원은 1896년부터 1914년까지 발행된 유겐트(Jugend)라는 잡지에서 비롯되었다.

미술 잡지 유겐트에서 유래한 독일식 아르누보 양식인 유겐트스틸은 독일에서의 새로운 건축운동의 명칭이 되었는데, 유겐트스틸 운동은 새로운 것을 지향하는 젊은 작가들의 열정의 표현이었고, 영국의 존 러스킨이나 모리스 같은 공예 운동가들의 이론과 활동이 영향을 주었다.

뮌헨을 중심으로 1897-1898년 사이에 몇몇 건축가로 구성된 집단이 기존의 고정된 양식으로부터 탈피를 목표로 하는 운동을 정개하게 되는데 여기에는 August Endel, Peter Behrens, Otto Eckmann, Herman Obrist 등이 이 운동에 참가하였다.

Elvira Studio

독일의 유겐트스틸 발달에 배놓을 수 없는 인물은 무테지우스(Muthesius)이다

건축가로서 교육을 받은 무테지우스는 1896년에 런던 주재 독일대사관의 주택 문제 담당관으로 파견되었다. 그는 1903년 까지 그곳에 근무하면서 영국의 공예와 산업디자인의 진보, 건축에 대한 정기적인 보고서를 작성하여 독일로 보냈다. (후에 그는 영국에서 모은 자료를 집대성하여 귀국 직후(1904-1905)에 「영국의 주택」이라는 책으로 출판하였다.)

무테지우스는 영국의 실용주의에 큰 충격을 받았고, 특히 가정용품에 나타난 실용주의 영향에 놀라워했고 1907년 결성된 독일공작연맹(예술 산업, 수공예 분야의 상호협력을 통하여 당면 과제에 대한 통일된 행동, 선전,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독일 디자인과 건축 등에 새로운 양식을 도입하는데 큰 영향을 끼친 사람이었다.

유겐트 스틸 건축의 주요한 특징

식물의 모방에서 출발한 아르누보 양식은 당초 양식, 물결양식, 꽃의 양식, 국수 양식 등으로 불렸다. 식물의 곡선에서 오는 장식미를 그 특징으로 삼았으며 사치스런 재료의 사용과 섬세한 디테일, 장인 정신 그리고 아름다운 물결모양의 곡선무늬에 있었다.

곡선적인 화려한 양식을 풍미하여 건축의 외관이나 일상 생활용품에 자연물의 유기적 형태에서 비롯된 곡선적인 장식을 애용한 것이 두드러진다. 동식물의 형태를 모티브한 유동적인 형식을 사용하였고, 종래에 그다지 채용되지 않았던 담쟁이덩굴의 감아 붙인 모습과 수선화, 단풍나무, 페릴컨, 백조, 학, 뱀 등의 장식 문양을 즐겨 이용하였다.

유겐트슈틸은 식물의 꽃과 잎에서 볼 수 있는 율동감 넘치는 곡선 형태를 추상화하고 양식화한 것이 특징이다. 이것은 아르 누보에 비해 다소 무거운 분위기는 없지 않지만, 새로운 감각으로 현대미술과 현대건축 탄생의 토대가 되었다.

이전 시대와는 다른 유겐트스틸 건축의 특징으로는 다음과 같은 점을 찾아볼 수 있다.

19세기 중반 역사주의의 영역 속에서 부상해온 중세 예술에 대한 정신적 고양은 고딕 양식의 평가와 결부되어 나타나게 된다. 예로서 건물의 선과 구조적인 표현의 강조,

형태와 재료의 성실한 이용, 외부 형태와 내부 공간의 일치에 대한 요구등을 들 수가 있다.

또한 이국적 성향이 점점 강하게 인식되기 시작되었는데, 이집트, 북아메리카, 인도, 터키, 일본 건축이 수용되어 변형되었으며, 대칭성이라는 르네상스의 이상과는 대조적인 비대칭성 원리가 재평가되었다.

유겐트스틸의 새로운 건축은 자연 형태의 연구로부터 영감을 얻었으나 유기적인 생성과정의 관찰에서 상징적인 요소들이 추출되었는데, 이 추출된 것과 자연과의 관계는 단순히 형태적인 측면에서만 결부되었다는 지적이 있다.

Bunte Theater

유겐트스틸의 건축물로는 독일 및 비엔나, 동구지역에서 쉽게 찾아볼 수가 있는데 주요 건물로는 뮌헨의 사진작가를 위해서 디자인 Elvira Studio, Fohr 소재 요양소, Berlin 소재 Buntes 극장 등이 있다.

2020년 7월 10일, 1178호 2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