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에 흩어진 한국문화재,
복원은 우리 기술로 한다

해외로 나간 우리 문화재의 복원 및 보존이 활발해진 건 2000년대 들어서다. 제각각의 이유로 우리 손을 떠난 문화재는 환수도 그렇지만 훼손된 부분을 복원하고 오래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현재 문화재 복원에 앞장서는 곳은 국외소재문화재재단과 국립중앙박물관이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에 따르면 해외에 흩어진 우리 문화재는 18만2080점에 달한다. 해외로 나간 문화재는 모두 환수해야 한다고 생각되지만 그렇지 않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물론 환수해야할 대상도 있지만 6.25전쟁 등 혼란스러웠던 때 한국의 문화재를 가져간 선교사, 간호사, 혹은 한국 사람으로부터 선물받은 옛 물건일 경우 환수대상은 아니다. 단, 불법으로 나간 건 환수대상이 맞다”고 설명했다.

즉, 수탈한 것이 아니고서는 문화재를 환수할 방법은 없다. 대신 문화재를 보호하고 관리하기 위한 도움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다만 ‘이익’과 직결되지 않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국가기관이 문화재 관리와 보존, 보호를 위한 책임을 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국외소재문화재재단, 국립중앙박물관, 국립문화재연구소다. 이들은 해외로 나간 우리 문화재를 보존하고 관리하는 사업에 동행하고 있다.

2012년 7월 설립된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2005년부터 문화재청이 진행하던 해외문화재 관리사업을 이어받았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 파악한 한국 문화재 소장 박물관은 21개국 572개곳이다. 2013년부터 현재까지 총 8개국 21개 기관 36건의 국외문화재 보존·복원 및 활용 사업을 지원했다.

재단은 주로 해외박물관이 소장한 한국문화재 현황을 파악하고 보수와 관리가 필요한 곳을 공모를 통해 선정, 훼손된 문화재를 복원할 매개체 역할을 한다. 긴급하게 수리와 보존이 필요한 문화재를 선정하고 보존에 필요한 기술력을 갖고 있는 연구소를 박물관에 소개하기도 한다.

고은혜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조사활용팀 대리는 “해외박물관이 직접 한국문화재 기술자와 연락해 보수를 진행한다. 국립문화재연구소, 도자전문가, 공예전문가, 공예품의 경우 무형문화재 이수자와도 연결한다. 문의를 하면 소개를 해줄 수도 있다”고 말했다.

고 대리는 해외박물관의 한국 문화재 복원 기준에 대해 “국내 문화재 전문가들이 복원과 보존이 필요한 문화재를 우선적으로 본다. 최근 몇 년 사이 입소문을 타면서 재단 문화재 수리 공모에 지원하는 해외박물관이 꽤 늘었다. 단, 불법으로 나간 문화재일 경우 지원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공모에 선정된 박물관은 재단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필요한 경우 문화재를 한국에 들여와 수리하거나 한국 문화재 전문가가 파견되기도 한다. 미주와 유럽 박물관 소장품은 한국에서 주로 수리하는 편”이라고 설명했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의 지원으로 보존처리를 완료한 유물은 국내에도 공개된다. 2015년과 2016년, 2017년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일반에 전시한 바 있다. 최근에는 미국 클리블랜드미술관과 필라델피아미술관, 스웨덴 동아시아박물관, 영국 빅토리아앨버트박물관, 독일 로텐바움박물관과 상트오틸리엔수도원 선교박물관 등 4개국 6개 기관이 소장하는 한국 회화와 자수 병풍 등 총 12점을 선보인 ‘옛그림’전이 펼쳐졌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재단과 달리 한국실이 마련된 외국 박물관을 대상으로 보존과 복원 지원사업을 2012년부터 진행하고 있다. 영국 박물관이 소장한 조선후기 회화 ‘오봉도’와 ‘칠성도’를 시작으로 독일, 스위스가 소장한 13점에 대한 작업이 완료됐다. 국립중앙박물관은 미국 포틀랜드 소장품 28점도 보존처리했다.

2019년 4월에는 박물관 한국실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스위스 리트베르크박물관에 보관된 조선후기 불화 ‘추파당대사 진영’ 보존처리를 완료하고 칸 트린 리트베르크 박물관으로 이전하기 전 국립중앙박물관에 공개했다. 추파당대사 진영은 1956년 스위스 리트베르크 박물관에 소장됐으나 훼손 등 문제로 지금까지 한 번도 전시된 적이 없다.

유혜선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부장은 “지금까지는 일부 소수 박물관에 한해 간헐적으로 문화재 보존처리가 이뤄졌다. 한국문화재를 소장하는 국외박물관은 26개국 83개기관이다. 지속적으로 문화재 보존처리작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우리가 복원한 해외 소재 문화재, 국내 전시 의미는

박물관이 훼손된 우리 문화재를 복원하는 사업 뿐 아니라 이를 전시로 연계해 국민과 공유하는 자리를 늘리고 있다.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고궁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은 해외 박물관이 소장한 우리 문화재를 보수하고, 이를 소장처를 보내기 전 국내에 소개하는 전시를 마련해 눈길을 끈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해외 박물관 소재 우리 문화재 보존 사업은 국가 간 문화 교류의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본다. 해외 박물관에 소장된 우리 유물이 상태가 좋지 않아 활용도 못하고 빛을 못 보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재단에서 보존 처리를 함으로써 국내에서 공개할 기회를 갖고, 외국 박물관에서도 우리 문화재를 활용하고 전시해 우리 문화를 알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해외 박물관 소재 우리 문화재를 보존처리 과정에서 연구 성과도 얻을 수 있다. 한 관계자는 “보존처리하는 과정 안에 작품에 대한 많은 정보를 얻게 된다. 단순히 그림에 대한 보존처리만 하는 게 아니라 이와 관련한 원료, 역사적 기록, 문서를 추가적으로 발견하게 되고 분석하면서 국내 연구 자료로 남는다. 또 전시로 이어지니 큐레이터들도 관심을 갖고 연구한다. 요즘은 영상으로 촬영해 보존해 자료로 남기기가 더 좋다”고 말했다.

이어 “보존처리를 마치고 해외로 다시 나간 우리 문화재는 한국에서 전시가 필요하면 언제든 협조가 가능하다. 2019년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에서 열린 “신여성 도착하다”에서 김은호의 ‘미인승무도’도 플로리다 대학 사무엘 P.하른 미술관 소장품으로 2016년 재단이 보수 처리한 작품”이라고 말했다.

1213호 30면, 2021년 4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