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외 소재 한국문화재 보존ㆍ복원이 중요한 이유

수장고에서 썩고 있던 ‘곽분양행락도’ 보존·복원 후 새 생명 찾아

주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몸 상태를 알아보고 아플 때 병원을 찾는 것처럼, 우리나라에 있는 다양한 문화재들은 박물관‧미술관의 보존 부서나 국립‧공립‧사립 문화재 보존기관 등을 통해 상태 점검과 치료를 받고 있다. 그렇다면 외국에 있는 한국문화재들은 어떤 상황일까?

국외 한국문화재의 보존 지원이 필요한 까닭

2021년 4월 현재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하 재단) 통계에 따르면, 세계 22개국에 20만4,693점의 한국문화재가 있다. 고문서, 회화, 도자, 공예품, 의복 등 다양한 종류의 문화재들이 유명 박물관‧미술관에서부터 작은 기관에까지 널리 소장되어 있다. 그런데 다양한 국가와 민족의 유물들을 소장하고 있는 세계 박물관들의 한국문화재는 타 문화권 문화재들과 비교해 소장 수량이 적고, 알려지고 연구된 기간이 짧아 관심이 적은 편이다. K컬처(K-culture)가 세계로 뻗어나가고 있지만, 문화재 분야에 있어서 한국문화재에 대한 현지의 관심은 여전히 적다. 박물관 내에서 동아시아 지역으로 함께 묶이곤 하는 중국과 일본은 해외에서 자국 문화를 알리는 데 문화재 분야를 꾸준히 지원해 왔기에 문화재 수량과 관련 분야 연구 인력이 탄탄한 반면, 한국문화재는 수량 면에서도 전담 큐레이터, 한국문화재 보존가 등 관련 인력 면에서도 상당히 부족하다.

현지에서의 적은 관심은 박물관 차원에서의 적은 지원으로 이어진다. 지원이 부족하다는 것은 한국문화재가 현지에서 활발히 전시되거나 활용되기 어렵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전시나 활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문화재의 보존 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하는 것이 필수적인데, 기회가 적다 보니 깊은 수장고에서 보관된 채 선보일 날만을 기다리는 문화재들이 많은 것이 현실이다.

박물관 내에서는 한정된 예산으로 우선순위에 따라 보존처리 대상이 정해지다 보니, 현지에서 관심이 적은 문화재들은 치료를 한참 기다려야 하는 경우도 잦다. 그러다 보니 수장고 어딘가에서 아프고 병들었어도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해 상태가 더 심각해지는 문화재들 또한 많다. 특히 종이나 직물로 이루어진 문화재의 경우, 시간에 따른 변형이나 훼손 정도가 심하기 때문에, 적절한 시간 내에 적합한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면 본래 모습을 영원히 잃게 되는 안타까운 상황도 발생할 수 있다.

미 스펜서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곽분양행락도’의 보존처리 후 모습 보러가기 (클릭).

스펜서 미술관 수장고에서 발견된 곽분양행락도보존 처리 후 광명 찾아

“지난 2015년 미국 스펜서 미술관을 확장 수리하면서 수년간 닫혀 있던 수장고를 마침내 열어 내용물을 조사할 수 있었다. 나는 캐비닛 중 하나에서 한 낡고 부서진 병풍을 찾아냈다. 그 위에는 손글씨로 다음과 같은 메모가 적혀 있었다.

‘집안의 어른을 위한 연회, 천 명의 후손이 함께함, 한국 화가가 제작함, 이런 작품은 주로 혼인 축하용으로 제작하여 선물하는 것이 관습이었음.’ 이 메모를 읽고 난 후 내 가슴은 빠르게 뛰기 시작했고, 호기심을 크게 자극했다. 무엇보다도 필자가 이제껏 스펜서 미술관에서 근무한 이래 한국 작품이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는 사실을 전혀 알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나는 곧 병풍의 경첩이 두 개 빼고는 모두 뜯겨나갔음을 알게 되었다. 우리는 마치 퍼즐을 맞추듯 여덟 폭을 순서대로 나열하였고, 조금씩 모습을 드러내는 그림에 놀랐다.” -‘미국 소재 곽분양행락도 보존처리 특별공개 연계 강연회 자료집’ 중 일부

위의 글은 미국 스펜서 미술관의 크리스 얼컴스 큐레이터가 재단의 미국 소재 ‘곽분양행락도’ 보존처리 특별 공개 연계 심포지엄에서 발표했던 내용의 일부이다. 이렇게 놀랍게도 수장고에만 보관된 채 잊힌 한국문화재 한 점이 세상에 드러나게 되었고, 미술관은 작품의 열악한 상태를 개선하기 위해 재단에 보존처리 지원 신청을 하였다. 재단은 관련 분야 전문가들의 심사 등을 거쳐 지원을 결정하였는데, 이때 국외문화재를 치료하는 일의 의미와 필요를 깊이 이해했던 민간 병원 기업 ‘미르치과네트워크’의 후원까지 더해져 보다 안정적인 지원이 가능했다.

세계 곳곳에는 여전히 도움을 기다리는 문화재들이 많기에, 이렇게 해외에 흩어진 우리 문화재 보존에 협력 지원하는 민간 기업의 도움은 언제나 소중하다.

스펜서 미술관의 ‘곽분양행락도’ 병풍은 1년여간의 보존‧복원 작업을 거쳐 무사히 옛 모습을 되찾았다. 방치됐던 문화재는 국내로 이송되어 전문 보존가들의 과학적인 분석과 섬세한 손길을 거쳐 오랫동안 찌든 때를 벗었고, 해지고 망가진 여러 손상 부분들 또한 정교한 작업을 통해 메워지고 수리되었다. 이 작업을 통해 우리는 수장고에서 오랜 시간 잊힌 우리 문화재와 다시 연결되었다.

문화재를 보존하는 것은 단순히 유물의 생명을 연장하고 다친 곳을 치료해 주는 데서 끝나는 것이 아니다. 보존처리가 완료된 후 건강을 되찾은 유물들은 다시 저마다의 새로운 시간과 이야기를 만들어 낼 수 있게 된다. 전시 및 연구를 통해 교육 등 각종 활용 사업을 통해 더 많은 이들과 공유되고, 이 과정에서 존재의 의미가 다시 반짝반짝 빛나게 된다.

스펜서 미술관 소장 ‘곽분양행락도’는 보존 작업 완료 후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우리 국민들에게 특별 공개되었고, 미국 캔자스로 돌아가서는 두 번의 특별 전시를 통해 현지에서 널리 소개되었다. 스펜서 미술관 사례를 통해 국외문화재 보존‧복원 지원이야말로 수장고에서 우리 문화재를 꺼내 빛을 볼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수단임을 알았다.

1223호 28면, 2021년 6월 1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