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살부터 시작하는 독일의 교육 KITA:
독일 유치원교사 경험을 바탕으로 (5)

교포신문사에서는 젊은 독자분들을 위해 교육 & 가족상담 전문가 배문정선생의 “1살부터 시작하는 독일의 교육 KITA: 독일 유치원교사 경험을 바탕으로 ” 글을 15회에 걸쳐 연재한다.
배문정 선생은 Bremen 대학에서 교육학 석사 졸업 및 Vechta 대학에서 가족심리학 박사 수료하였으며, 현재 독일에서 교육 및 가족상담사로 일하고 있다.
독자분들의 많은 관심과 성원을 부탁하는 바 이다. -편집자주

2) 부분 개방형 교육방식

부분 개방형 교육방식을 대부분 많은 유치원에서 채택하고 있으며, 유치원마다 조금씩 다른 방식으로 운영해 나간다. 특히, 3세 미만의 유아를 담당하는 기관은 개방형 교육 (offene Arbeit) 의 어려운 점이 많아 부분 개방형 교육 (Teil offene Arbeit) 방식을 사용한다.

개방형과 같이 공간구성에 따라, 테마 반이 있으며, 반을 어떻게 꾸미느냐에 따라 교육환경이 달라진다. 반마다의 중점으로 가지고 있는 구성 콘셉트가 있으며, 작업반, 역할 놀이반, 책 반, 음악반, 오 감각반 그리고 2 개의 유치원은 예술 반과 역할 놀이반으로 운영되고 있다. 반마다 특색에 맞게 특징적인 교육 교제를 제공하며, 아이들은 관련된 교육 교제가 있는 공간에 스스로 놀이감을 찾아 자율적인 놀이를 한다. 교사가 제공되는 프로그램도 있고, 자유놀이도 있다.

· 작업 반: 블록 쌓기를 중점적으로 하는 반

· 역할놀이 반: (인형놀이, 시장놀이)를 중적으로 하는 반

· 책 반: 책을 많이 배치하여 아이에게 책을 제공하는 반

· 음악 반: 음악적 놀이를 제공하는 반

· 오 감각 반: 소리, 시각, 접촉 감각을 키우는 반

· 예술 반: 미술 작업을 하는 반

개방형과 다르게 아이들이 반 밖으로 혼자 다닐 수 없고, 교사들이 바뀌지 않으며, 담당하는 반이 있다. 항상 교사들끼리 먼저 문의를 하고 협력 후 아이들이 이동을 할 수 있다. 내가 일한 유치원에서는 두 가지의 방법으로 부분 개방형 교육이 사용되고 있는데 반 전체가 같이 다른 반에 가는 방법과 다른 교사와 협력하에 아이를 개별적으로 다른 반에 가서 놀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반의 교체를 통한 부분 개방형: 아이가 한 반에서만 놀이 활동을 하는 것이 아닌 반전체를 교체하여 반 전체가 다른 반에서도 활동을 한다. 즉, 오늘은 아이들과 역할 놀이 반에 가서 같은 반 아이들 모두 다 같이 다른 반의 활동이 제공된다. 만약 아이가 가기 싫다고 하면 교사와 교사끼리 상의 후 가기 싫은 아이만 원래의 반에 있어도 된다. 교사들이 책임을 지고 관련된 반 아이들에게 무엇을 제공할지 교사들끼리 결정한다. 아이들을 매일매일 본인이 어디를 갈지 결정을 하고 인원이 초과되지 않는 한 놀 수 있다.

개별적 문의: 아이가 다른 반에 가서 놀고 싶을 경우, 교사에게 문의 후 아이가 다른 반에 가서 놀 수 있으며, 인원이 많아 불가능할 경우, 아이를 바꿔서 인원을 맞춰서 놀이를 즐기는 교육 방식이다. 예를 들어 체육관에 가서 신체운동을 제공하려고 하는데, 한 아이가 원하지 않을 경우 다른 반에 가서 놀고, 그 반의 아이가 체육관에서 노는 것이다. 물론 바꾼 아이가 놀다가 싫다고 하면 원래의 반으로 다시 갈 수 있다.

부분 개방형의 장점으로는 아래와 같다.

· 아이의 필요, 흥미, 발달 주제가 중심에 있다.

· 아이는 놀이 친구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 아이는 자기 인식, 자율성, 자립심이 강화된다

· 아이는 신중하게 준비된 자극이 적고 스트레스가 적은 환경에서 생활한다.

3) 비 개방형 교육방식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아이들은 고정된 주 그룹과 주 교사에 고정되어 변경될 수 없다. 예를 들어, 어린이집 규모가 100명이라면, 아이들은 25명씩 4개의 고정된 그룹으로 나뉘며, 일반적으로 25명당 두 명의 교사가 배정된다. 각 그룹은 자신만의 그룹 방을 가지고 있으며, 모든 활동은 주 그룹 내에서 아이들은 함께 정해진 의식을 지키고, 함께 식사하고, 활동을 함께 하며, 체육관이나 야외로도 함께 나간다.

이 교육방식을 통해 아이들은 성별과 나이가 다양한 이질적인 그룹이지만, 고정된 구성으로 소속감을 가진다. 즉 이로 인해 하나의 팀이 형성되며, 이 팀은 서로를 지지하고, 강한 신뢰와 편안함, 가족과 같은 느낌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부모들이 누구에게 연락해야 할지 모르는 경우가 많은데, 부모들도 한두 명의 고정된 담당교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의사소통이 원활하다.

교사의 역할

교사의 역할은 아이들에게 꾸준한 신뢰 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아이들은 두 명의 배정된 교사에게 의지하며, 이 밀접한 관리 속에서 강한 유대감을 쌓고 그 감정에서 “하나의 팀” 또는 “통합된 힘” 이 형성된다. 교사는 25명의 아이들 모두를 책임지고, 공동으로 일하는 교사와 함께 하루 일과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다.

교사가 자신의 그룹에 속한 아이들을 면밀히 관찰하며 매일 긴밀한 접촉을 유지하기 때문에 발달장애 등 발달에 어려움이 있는 아이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 주 담당 교사뿐만 아니라, 아이들은 고정된 그룹의 일원으로서 강한 소속감을 느낀다. 주의할 점을 의식, 활동, 일과 등을 통해 모든 아이들이 배제되지 않고 팀의 일원으로 느낄 수 있도록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아이의 역할

아이를 그룹의 일원으로 보는 시각을 가지고, 각 아이는 퍼즐의 한 조각이며, 모든 아이들이 함께할 때만 큰 그림을 완성할 수 있다고 본다. 이는 곧, 개별 아이의 의사보다는 공동체의 이익을 우선으로 한다는 뜻으로 예를 들어, 운동 시간이면 모든 아이가 함께 운동을 해야 하며, 어떤 아이가 지금 당장 그림을 그리고 싶어 하더라도 전체 그룹의 일정에 따라야 한다. 이러한 개념 속에서 아이는 공동체 안에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그 안에서 자신의 역할을 인식하게 된다.

독일 유치원은 도시마다 조금씩 다른 방식으로 운영된다는 것을 알려 드리며, 다음 주에는 일반 유치원에서 이루어지는 통합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교육 & 가족 상담사 배문정: mjbea76@web.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