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전쟁 – 전쟁과 약탈 그리고 회복” 연재를 마치며

약탈 문화재 회복은 유산의 정신과 가치, 이야기를 온전히 찾는 것이다

이상근 (재)문화유산회복재단 이사장

약탈품 반환의 역사는 깊다. 기원전 1세기 로마 공화정 시대 유명 정치인이자 작가였던 키케로(Marcus Tullius Cicero, BC 106~BC 43)는 기원전 73년부터 3년간 시칠리아 총독을 지낸 베레스(Gaius Verres, BC 120?~BC 43)를 유물과 예술품을 훔쳤다며 재판에 넘겼다. 전쟁이 아닌 평화시의 약탈과 절도이지만 베레스는 ‘로마에 대한 불충’으로 유죄 선고를 받았다. 판결 직후 그가 시칠리아 사원 등에서 탈취한 유물들은 그대로 복원되었다. 문화재와 예술품 반환의 최초 기록 사례다.

이런 전통은 안토니오(Marcus Antonius, BC 82~BC 30)가 소아시아 도시들에서 약탈한 유물을 아우구스투스(Augustus, BC 63~AD 14)가 돌려주면서 ‘정복 제국’ 로마에도 반환의 전통이 면면히 이어졌다.

문화재를 대규모로 약탈한 나폴레옹을 격퇴한 영국 웰링턴(Arthur Wellesley Wellington, 1769~1852) 공작도 약탈품을 유럽의 원래 소유국으로 돌려줄 것을 영국 정부에 건의했다. 영국과 프로이센 등 연합국 대표들은 1815년 9월 파리를 점령했지만 이런 연유로 파리의 루브르는 전승국의 약탈에 짓밟히는 운명을 피할 수 있었다.

“눈에는 눈, 이에는 이”로 갚지 않았다. 전쟁에서 승리하면 전리품을 챙기던 당시 관행으로서 이 조치는 매우 이례적인 행태였고, 전시 약탈 문화재를 원래의 장소에 반환하자는 원칙이 탄생했다. ‘빈 회의 원칙’이다.

제2차 세계대전 때 나치가 약탈한 문화재와 예술품이 속속 원래의 합법적 소유자나 그 상속인들을 찾아간다. 특히 반환 문제가 제기된 예술품과 문화재 소장자가 그 취득 경위와 역대 소장자의 획득 정당성을 입증하라는 ‘워싱턴 원칙’ 합의 이후 나치 시대 약탈품의 회복이 가속화하고 있다.

아시아에서 군국주의 일본에 의해 약탈당한 나라가 어디 한국뿐이랴. 중국과 대만을 비롯해 필리핀,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시아 국가들도 그렇다. 아프리카와 아시아권의 약탈 문화재 반환에 대해 이젠 식민제국주의를 거쳤던 국가들이 답할 차례이지만 가만히 있는 우리에게 그냥 돌려주지 않는다.

페루가 전 세계 여론을 환기하고 상대국 대통령과 교황까지 움직여 마추픽추 유물을 돌려받을 수 있었듯 우리도 모든 역량을 모아야 문화재 한 점을 환수할 수 있다. 환수된 문화재는 박물관 수장고로 들어갈 것이 아니라 국민의 것이라는 자긍심을 주기 위해서라도 진정한 제자리 회복이 이뤄져야 하겠다.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발해 유물과 고구려 문화재가 이역만리의 다른 나라로 가는 일도 더 있어서는 안 되겠다.

약탈 문화재 환수는 유물이 한 나라에서 다른 나라로 이동하는 단순한 물리적 위치 변경이나 한 나라의 컬렉션 부족 부분을 채운다는 문화적 자존심 높이기 차원을 넘어서는 문제다. 창조자들이 만든, 있어야 할 곳으로 되돌아가는 제자리 찾기라는 도덕적 당위성뿐만 아니라 약탈에 스며든 역사적 핏빛 폭력과 치유되지 않은 상처를 어루만지고 쓰다듬는 힐링의 길이다.

지리한 여정.

한번 시작하면 몇 년, 몇십 년도 걸린다. 서산 부석사 불상의 제자리 봉안 운동이 어느덧 9년째 입니다. 2017년 1심 승소 판결 이후, 항소심만 5년째이다. 오구라 컬렉션 등 일제강점기 반출 문화재의 환수는 해방 후 모두의 염원이었지만 지금도 회복되지 못하고 있다. 그리스는 영국이 반출해간 파르테논 신전의 조각상 환수를 위해 190년 넘게 투쟁하고 있다.

복잡다단한 과정.

강자의 논리가 철저히 반영된 문화재의 약탈을 제자리로 되돌리는 과정은 철저한 논거와 사례, 정성과 정량이 투입되는 일이다. 여기에는 역사 문화, 사회 경제, 정치 외교, 심지어 날씨 기상까지 온갖 요소들이 뒤섞여 작동하고 있다. 2011년 12월 완전한 환수를 이룬 일본 왕실도서관 소장 조선왕조 도서의 귀환을 막바지에 가로막은 것은 동일본 대지진과 쓰나미였습니다.

환수가 아닌 회복’.

‘환수’가 아니라 ‘회복’이다. 문화재의 환수에는 반환, 기증, 매입 등의 방도가 있고, 어떤 처방을 쓸 것인지는 각각의 내력, 현재 상황 등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나. 우리는 보물을 되찾는 일이 아닌 유산의 정신과 가치, 이야기를 온전히 찾는 과정이 소중하다.

문화 의병을 기다리며

2019년, 만세운동 100주년이 되었습니다. 2020년, 새로운 대한민국 100년이 시작되었습니다.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 봄이 왔건만 진정한 봄은 오지 않았습니다. 일제강점의 35년이 남긴 역사적 상흔이 곳곳에 있습니다.

문화유산은 우리가 미래로 나아가는 데 힘이 되는 든든한 디딤돌과 같습니다. 역사는 유산에 저장되고, 유산은 역사를 미래로 전달하는 창(窓)입니다. 우리는 지난날, 침략과 강점을 겪으면서 수많은 문화유산이 반출되었습니다.

1945년 이후 수많은 선각자들의 노력으로 1만여 점이 돌아왔지만 단 4건만이 국보로 지정되었습니다.

역사와 문명의 기원을 밝혀 줄 문화유산의 회복은 여전히 머나먼 과제입니다. 외적이 쳐들어오면 관병은 도망하고, 목숨 부지가 어려운 백성들이 낫 들고 도끼 들고 그마저 없으면 호미, 부지깽이라도 들고 맞서 싸워 이긴 전통을 지닌 우리는, “ 어지면 해 나가는” 자랑스러운 문화 의병입니다.

1344호 30면, 2023년 12월 2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