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2년 1월 27일 자 대한제국 관보에 “대한제국 애국가”가 실렸다. 그리고 같은 해 8월 15일 대한제국은 이를 애국가로 공식 지정하고, 이어 악보를 인쇄하여 50여 개국에 선포, 발송하였다.
올해는 우리나리 최초의 애국가 “대한제국 애국가” 공식 지정 120년 되는 해로, 주독한국문화원은 7월 1일, 7월 2일 양일간 베를린과 할레(Halle)에서 “120년만의 만남”이라는 제목으로 기념음악회를 개최한다.
교포신문사에서는 기념음악회를 앞두고, “대한제국 애국가”의 탄생과정과 작곡가 프란츠 폰 에커트(Franz von Eckert, 1852~1916), 그리고 그가 한국 음악에 끼진 영향 등을 4회에 걸쳐 살펴본다. -편집자 주
현재 대한민국의 국가(國歌)로 통용되는 애국가는 1936년 안익태(安益泰, 1906~1965)가 작곡한 것으로, 관습적으로 ‘국가’로 불리다가 1948년 8월 15일 정부수립 후 대한민국의 국가로 자리를 잡았다.
그러나 현재의 애국가 이전 최초의 애국가는 시기적으로 더 거슬러 올라가 대한제국 시기에 탄생하였다. 1894년 갑오경장과 1896년 독립협회 결성 이후 민간에서는 애국심을 고취하기 위한 많은 애국가들이 작사되었는데 약 10여 종에 이르렀으며, 어떤 곡조로 불렸는지는 모르지만 그 가사들이 독립신문에 게재되기 시작했다. 그러던 중 1902년 대한제국 애국가가 공포되었는데 국가에서 정식으로 애국가를 제정한 것은 최초의 일이었다.
이제 그 과정을 살펴보도록 하자.
애국가 부르기 운동
외국에 문호를 개방하고 국제사회와의 교류가 시작되자 당시 조선에서는 국가(國歌)제정의 움직임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이는 각국과의 외교적 교섭이 활발히 진행되고 서구 문물과 접촉하며 서양 음악에 대한 이해가 고조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제기되었다.
국가 제정의 필요성을 가장 먼저 제안한 인물은 갑신정변의 실패로 미국에 망명한 뒤, 10여 년의 미국생활을 마치고 귀국한 서재필이었다. 그는 1896년부터 『독립신문』을 발간하고 독립협회를 결성해 법치에 따른 민주주의와 민권의식을 배양해 자주자강의 독립된 국가건설을 위한 계몽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는 『독립신문』발행 초기부터 나라를 사랑하는 노래, 즉 각종 애국가류를 게재하였다. 1896년 4월부터 1899년 6월까지 『독립신문』에는 32편의 애국가류의 가사가 소개되고 있고 가사가 없는 것까지 합하면 36편이 넘을 정도이다.
또한 『독립신문』에 각종 애국가를 소개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국민의례 운동을 전개하였다. 즉, 1896년 9월 22일자 『독립신문』논설을 통해 각종 공공장소에서 국기에 대한 경례와 애국가 부르기 운동을 주창하였다. 애국가를 만들기 위해 조선 정부의 학부(學部)에서 애국가 제정위원회를 조직해 학생들로 하여금 매일 국기에 경례함과 동시에 애국가를 부르게 하자고 제안하였다.
『독립신문』을 통한 국민의례 운동의 제안은 단순히 제안으로 끝난 것이 아니라 독립협회를 비롯해 일반 민간에서 행사 때마다 국기에 대한 경례와 함께 애국가를 부르는 것으로 확대되었다.
1896년 11월 21일 독립문 정초식 행사 때 초청된 배재학당의 학생들은 <조선가>, <독립가>, <진보가>를 불렀고, 또 다른 초청 학교의 학생들은 <애국의 노래>를 불렀다. 1897년 8월 13일 독립협회 주최로 열린 조선개국기원절 축하행사 때 역시 배재학당 학생들이 ‘오백여년 우리 황실 만세무궁도우소서’라는 축수가(逐壽歌)를 부르기도 하였다.
이렇듯 『독립신문』을 통해 확산된 애국가 부르기 운동은 『황성신문』, 『대한매일신보』, 『공립신보』, 『신한민보』등의 신문과 각종 학회지 등으로 확산되었다. 그리하여 많은 애국시가들이 <애국가>, <국민가>, <독립가>, <계몽가>, <진보가>, <찬미가>, <대한가> 등의 이름으로 소개되었다. 1905~6년경 이런 애국시가를 한 권의 책으로 엮어 일명 『애국창가집』으로 편찬하였다.
『독립신문』과 독립협회를 통해 민간을 중심으로 애국가 부르기 운동이 추진될 때 조선정부는 1897년 10월 근대적인 자주국가임을 만방에 선포하기 위해 국가의 명칭을 대한제국으로 바꾸었다.
새로 성립된 대한제국 정부는 부국강병을 위하여 각종 제도를 개혁하였다. 아울러 러시아 황제 대관식에 참석하고 돌아온 민영환의 건의를 받아들여 황제권 강화의 명분으로 1900년 12월 29일 칙령 59호 ‘군악대 설치건’을 반포하고 서양식 군악대를 창설하였다. 바로 대한제국의 ‘황실군악대’이디
대한제국 ‘황실군악대’
대한제국 황실국악대는 1등 군악장(대장) 1명, 2등 군악장(부장·하사급) 1명, 1등 군악수 (악사·부하사관) 3명, 2등 군악수(상등병) 6명, 악사 27명, 악공(연주자) 12명, 서기 1명 등 총 51명으로 구성됐다.
1901년 2월 1일, 고종은 군악대 발전을 위해 독일인 프란츠 에커트를 군악대 교사로 3년간 고용했다.
에커트가 황실군악대 교사로 오기까지에는 약간의 사연이 있다.
1899년 뜻밖의 귀빈이 독일에서 조선을 방문한다. 독일 황제의 동생인 하인리히였다.
이때 독일은 덕국(德國)이라 불리웠던 바, ‘덕국 친왕’의 방한은 구한말 최대의 국빈 행사였다. 고종 황제는 성대한 잔치를 벌여 그를 환영하는데 하인리히는 고종 황제에게 색다른 구경거리를 선사했다.
그는 25명의 군악대를 대동했던 바, 프로이센 독일 특유의 절도 있는 자세와 휘황한 음악은 고종을 매료시키기에 충분했던 것이다. 훨씬 전에 러시아 황제 대관식을 다녀온 민영환이 군악대 창설을 건의한 기억도 떠올린 고종 황제는 군악대를 만들고 싶다는 의사를 피력했고 독일 음악 교사도 요청했다.
그로부터 2년 뒤 1901년 2월 19일 큰 키에 멋진 수염의 한 남자가 고종 황제 앞에 깊숙이 머리 숙여 인사한다. 그 이름은 프란츠 에케르트. 그때 나이 마흔 아홉의 중년이었는데 그는 동아시아와 깊은 인연이 있었다. 나이 스물 일곱 살에 일본 해군 군악대의 고문으로 파견되어 무려 20년을 일본에서 지냈다.
그 후 독일로 복귀한 에케르트는 베를린 군악대장으로 취임했는데 또 다시 극동의 한 왕국으로부터 초대장을 받았고 그를 받아들인다. 에커트에 대해서는 다음 호에 자세히 다루게 된다.
에커트는 지금의 허리우드 극장 자리에 음악 학교를 설립하고 군인 등을 차출하여 맹훈련을 시킨다. 음악 이론과 실기를 병행한 이 교육을 통해 서양 음악에 전혀 문외한이던 은자의 왕국 젊은이들은 서양식 악보와 트럼펫 소리에 익숙해지기 시작했다. 에커트는 “한국인들이 음악에 천부적 재질이 있고 일본인보다도 훨씬 낫다.”고 즐거워했다고 하는데 에케르트의 노력과 한국인들의 재능이 시너지 효과를 냈는지 빠른 시일 안에 화려한 결실을 내놓는다.
“대한제국 애국가”의 탄생
9월 7일은 고종의 생신이었다. 경운궁에는 대소신료들과 국내 주재 해외 공관원들이 총집결했다. 이날 에케르트의 군악대는 감동적이고 역사적인 첫 연주를 한다. “단지 4개월의 연습으로 한국인이 이렇게 서양 음악을 잘 연주할 줄이야….. 이 정도 실력의 악대라면 곧 극동 최고의 악대가 될 것이다.”(영문 잡지 Korea Review 중 )는 찬사가 나올만한 실력이었다.
그리고 그 날, 에케르트는 또 하나의 역작을 선보인다. 음악에 일가견이 있는 서양의 외교 사절들의 귀에도 낯선 음율이 흘러나왔고 그 뒤를 이어 한국인 중창단이 노래를 시작했다.
바로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 대한제국 애국가였다.
“상제(上帝)는 우리 황제를 도우사/ 성수무강(聖壽無疆) 하사/ 해옥주(海屋籌)를 산(山)같이 쌓으시고/ 위권(威權)이 환영(環瀛)에 떨치사/ 오천만세(於千萬歲)에 복녹(福祿)이/ 일신(日新)케 하소서/ 상제(上帝)는 우리 황제(皇帝)를 도우소서
(하느님은 우리 황제를 도우사/ 만수무강하사/ 큰 수명의 수를 산같이 쌓으시고/ 위엄과 권세를 천하에 떨치사/ 오천만세에 기쁨과 즐거움이/ 날로 새롭게 하소서/ 하느님은 우리 황제를 도우소서)“
에케르트는 대한 제국 국가를 부탁받고 조선의 음악을 알기 위해 궁중 아악과 민간의 음악을 들으며 악상을 떠올렸고, 궁중행사가 있을 때마다 빠짐없이 참석하여 그 음악과 소리를 들으며 고민에 빠졌다고 한다. 심지어 비오는 날의 빗소리, 천둥 소리까지도 빼놓지 않을 만큼 조선을 깊이 연구한 끝에 애국가를 만들었다. 그래서 에케르트의 애국가는 조선의 음계를 바탕으로 했고, 청중들의 귀에도 쉽사리 순하게 들어올 수 있었다. 지금 들어도 그렇다. 서양 음악가가 지은 것 같지 않은 우리 가락풍이 만져질 듯 느껴지니까. 고종 황제도 대만족이었다. 에케르트는 태극 3등급 훈장을 수여받는다.
이날 탄신축하연에 참석한 충정공 민영환은 애국가를 전국에 알리도록 지시했고, 1902년 1월 27일 자 관보에 이러한 내용이 실렸다. 이 노래는 그해 8월 15일 대한제국 애국가로 공식 지정됐다. 대한제국은 악보를 인쇄하여 50여 개국에 보내기도 했다.
1269호 14면, 2022년 6월 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