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독광부 60년 (10)

독일 광산생활 수기(2)

이종우 (1971년 2월 10일 내독, 함부르크 거주)

1963년 12월 22일 오후 6시,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뒤셀도르프시의 ‘뒤셀도르프 공항’. 에어 프랑스 제트기 한 대가 도착했다.
탑승객들이 차례차례 내리기 시작했다. 말쑥하게 신사복을 차려 입은 검은 머리의 한국인, 바로 파독광부 1차1진이었다. 1차1진은 모두 123명. 그리고 5일 12월 27일, 1차1진 나머지인 124명이 독일에 도착했다. 이렇게 1차 1진 247명을 시작으로 파독 근로자의 시대가 시작된 것이다.
교포신문사에서는 파독 광부 60주년을 맞아, 1월부터 매월 4 째주 “파독광부 60년” 특집을 이들이 도착한 12월 22일까지 12회에 걸쳐 연재한다. 독자들의 관심과 성원을 부탁드린다. -편집자 주

나의 회고를 시작하며

파독 이래 지난50여 년의 세월을 응시, 음미해 보면 내 일생의 절반 이상인 시간이 얼마나 길고 긴 건지 까마득한 게, 낮 선 땅 낮 선 문화권에 동조해 가며 살아가려고 하니 희로애락과 애환의 뒤범벅 속에 무슨 재미가 있었겠나 싶다. 그러나 한 가지, 기왕지사 독일에 왔으니 사회 전반에 걸쳐 우리 조국 대한민국보다는 월등히 높은 이곳에서 “아이들 낳아 교육 잘 시켜서 성장 후에 독일사회 일원으로 떳떳이 살 수 있게 터전을 마련하자! 이까짓 고생 뭔들 못하겠나”하고 팔 걷어 부치고 나선 내가 아니던가!

최종고 서울법대교수. 한국인물전기 학회장(2009년 3월 현재)의 말씀대로, 파독광부 역사는 희로애락과 애환의 육성이 생생히 담긴 역사이고 “역사는 이야기”라는데 힘입어, 우리들의 많은 이야기는 그야말로 진정한 독일동포사회의 한 토막 퍼즐 같은 역사라고 보고 용기를 내어 기술해 본다.

대한민국 정부 스스로가 기록하고 있는 사실은, 60-70년대 한국의 개발 시대에 해외로 문을 열었던 진정한 당사자들은 지금도 고국으로 돌아가지 못하며 반세기를 넘기고 있는 셈이라 했다. 그래서 긴긴 독일광산생활수기를 이야기로 계속 펼쳐 보고자 한다.

국제무대, Kettelerhaus 우리 보금자리의 생활상

주말(금-토-일), 금요일 오후부터 일요일 저녁 늦게까지 맥주박스 무겁다고 이리저리 밀고 끄느라 삐익삑, 덜그렁 팽개치는 소음, 더 미치는 고함소리- 고향의 식구를 부르는 소린지? 맘에 안 드는 동료 누구를 부르는 외침인지? 구분은 안 되나 끊임없는 술 취한 이들의 고함인지 비명인지, 월요일 새벽반에 출근 때문에 지금쯤엔 잠을 자야 하는데 고성방가에 도저히 잠을 이룰 수가 없다. 괴롭다. 어디론가 속히 이 무대에서 탈출하고 싶다.

게다가 같은 우리 하임에 터키, 유고슬라비아 광부들도 함께 2층, 3층에 기거하고 있고 그들 또한 시끌벅적한 무리들이다. 서로 생활하기가 불편하다. 부엌, 화장실 공동 사용 등.

반드시 주말이 되면, 멋을 몹시 내고 외출하는 기생오라비들. – 행선지 또는 방문 목적지가 도처에 있는 병원의 한국 간호사기숙사 방문, 아니 “아가씨 사냥차”가 더 좋은 표현일지 모른다. 그땐 우리 기숙사는 외출하는 모범생들 때문에 하루 이틀은 조용해지는데 크게 일조한 것이다. 그들이 제일 시끄럽다. 27-28살 서른 안팍이니 결혼상대를 속히 구해야 하고, 그래야 3년 후 여기에 그대로 머믈수 있는 사유가 되기 때문에도 그렇다.

한편 오갈 때 없는 노털들이나 별 볼일 없는 Drinker 들은 삼삼오오 모여 방에서 날이 저물때가지 내내 마셔댄다. 몇 박스째인지 바닥에 박스 미는 소리가 그억 그억 소리내 마치 애미 찾아 슬피 우는 까마귀 소리 같기도 하다.

긴급 강제 귀국조치를 당한 박XX 동료 이야기다.

그는 서울내기란다.

하임통역 박XX이 자기가 병가를 내도록 독일의사한테 잘 얘기 안 해주었다고, 그게 분하고 괘씸해서 복수하려고, 새벽에 깊이 잠들어 있는 하임통역 박XX의 방에 난입해 그의 몸에 올라탄 채 Frühstück용 Messer로 목을 그어대다 박통역의 반항으로 목 자르는데 실패한 나머지 도망을 쳤으나, 곧 경찰에 붙들려 경찰 및 사나운 군견 Schäferhund 두 마리의 감시 하에 기가 푹 죽어 있고, 박씨가 화장실을 가도 큰 개 두 마리가 킁킁대며 바짝 뒤따라 다녀, 도대체 어디로 튈 (도주)수도 없는 상태다. 이틀 후인가 공항으로 끌려가 곧장 한국으로 강제귀국 당했다. 지체할 일이 아니다.

Kettelerhaus Messer는 자주 칼날을 세우지 않는 모양이네. 목이 질 긴거야 칼이 안들었나?

작업도중 들켜 피해자 반항에 실패했으니 망정이지. 박씨는 지금 독일 어느 지역에서 잘 살고 있겠지. 아마 명이 길어 100세는 무난할거라 판단된다.

광산 위엄의 상징 1, Steiger 인사버릇 단단히 고쳐 준 우리 선수 공XX

우리가 항내 작업에 투입 된지 며칠이 안 된 시기로 기억된다.

어느 날 오후 기숙사 안팎으로 떠들썩한 소리가 나고, 그게 3층에 사는 공XX 동료가 4층 지붕위에서 뛰어 내리려고 지붕 끝에 서서 난리를 친다는 거다. 금세 소방차가 몰려오고 Polzei차가 몇 대씩 왔고 확성기를 이용, 독일 Kettelerhaus 하임장 Hr. XXX, 광산통역 홍XX, 강XX, 등dl 돌아가며 달래느라- “뭐가 불만이냐?”, “항내생활이 힘들면 일자리 바꿔주마!”, “향수 때문이라면 한국 보내준다” 등등갖은 감언이설로 달래는 중, 그가 장황하게 사건의 전모를 털어 놓는데, 듣고 보니 기가 차지 않을 수 없다.

항내작업장에서 그와 마주친 백바가지 Steiger한테 “Glück Auf”인사를 건넸는데, 그가 대꾸도 없이 그냥 그의 곁을 지나갔다는 이야기다. “나를 무시했다’”, “외국인을 아주 하대한다”라며 오랜 시간을 소리소리 지르며 애를 먹이다가, 광산 Direktor까지 합세해, 다시는 그런 일이 없도록 철저하게 전 Steiger내지 광산지도층인사들한테 까지 잘 교육을 시킬테니 제발 내려오라고 애원하다시피 하여, 겨우 긴긴 쇼는 막을 내릴 수 있었다.

아마도 Ketteler Str. 에 이런 인파가 모인 건 2차대전 이후 처음이 아닐까 추측도 해 봤다.

그 사건 이후 항내에서 Steiger들이 어찌 인사들을 잘 하는지, 또 광산 내에 소문이 돌아 한국인을 보면 “Glückauf” 크게 복창을 하게한 일종의 희극적인 사건이었다.

뒷처리를 깔끔하게 처리하는 터키인들은 우리 보다 훨씬 문명인이다.

하임에 입주해서 처음 경험한 일이다.

우리 하임3층 공동 화장실로 용무를 보러 가는 중, 일보고 나오는 웬 터키동료 손에 들려진 1l 짜리 물병이 눈에 띄어, 그에게 “그렇게 목이 마른가?”, “화장실에서 까지도 물을 마셔야 하니?” 라고 핀잔을 줬더니,

그가 심술궂은 언성으로 내게 대꾸하길 |너희들은 일을 본 후, 종이로 아무리 깨끗하게 닦는다 해도거기엔 쬐깐은 남아(묻어) 있다, 그러나 나한텐 전혀 그런 게 없다! (Bei dir bleibt etwas dort immer ein bisschen! Aber bei mir gar nicht)”.

그러고 보니 그의 말이 다 맞다. 물로 씻으니 꽤 청결할거다. 할 말이 나는 없었다. 이내 나는 “야! 그 더러운 손으로 어떻게 음식을 만지냐?” 했더니, “손마다 서로 다른 작업분담이 있어 헛갈리지 않고 잘 활용한다”며 능글 섞인 넉살을 부린다. 요즘은 어디 가나 씻김이 좋고 세척 가능한 특수 장치가 변기에 많이 장착되어 있어 그들도 뒤처리 하는 데는 별문제 없을 거다.

석탄 흠치다 들킨 나!

하루는 항내작업을 끝내고 지상(Übertage) 공동탈의장 및 샤워장(Waschkaue)에서신나게 탄가루 범벅이 된 몸 여기저기를 손닿는 곳은 나 혼자서 열심히 닦고, 손이 잘 안가는 등은 아무에게나 가서 그의 등을 닦아 주기 시작하면 어느새 여러 명이 줄줄이 내 등 뒤로 나란히 서서 남의 등을 말끔히 닦아 준다. 그런 후 모두 함께 동시에 반대로 돌아서면 이땐 닦던 사람이 씻김을 받게 된다.

마침 내 등을 닦아주던 독일 어느 동료가(Kumpel) 나를 보고 뭐라 하며 크게 웃어대고 다른 이들도 같이 웃더이다. 왜?

내가 말귀는 100% 잘 이해는 못했기에, 한국말로 받아치길 “야 임마! 그 탄가루 조금 귀에 묻혀 가져가려 하는데 고것도 못 가져가게 내게 호통을 치냐?”, “이봐라 독일 놈들 지독 하구나, 고얀놈 같으니라구. ㅎㅎㅎ”

특히 한국동료들이 몽땅 웃었다. 현장이 파안대소 한다. 내 귀가 덜 닦여서 아직도 까만 탄가루가 그대로 묻어있다 라고 내게 가리켜 주는데, 나는 다른 넋두리를 떨어 다 같이 웃은 경험이 있었다. 재치는 우울한 환경을 바꿔 주기도 한다.

1232번 나의 작업일련번호(Marken Nr.)

입항하기 전에 이 번호가 꼽혀있는 방을 지나게 되고, 거기서 각자 자기 일련번호 카드를 뽑아 휴대하고 입항, 작업이 끝나고 나면 지상으로 나오기 전 본 항도 승강기타는 곳 옆에 설치된 카드인식기에서 본인 카드를 인식시켜 휴대하고 나와, 공동탈의장 전에 카드 꼽는곳에 자기 번호를 찾아 그곳에 끼어 놓는다(일반회사 출퇴근 인식 카드와 동일).

그래야 본인이 하루 작업한 기록이 입력되어 나중 봉급표에 반영되기 때문에 반드시 이 일은 빠짐없이 처리해야 하고, 광산 어디서나 요구 시에는 내 신분을 밝힐 때, 제일 먼저 Marken Nr. 그리고 Name, Geb. Jahr – u. Adresse etc. etc. 이 순서다.

아마 이 1232 Marken Nr. 나 군번 0038870(학보) 두 번호는 치매가 오기 전에는 잊히지 않을 거라 생각이 든다. 그만큼 평생에 가장 크게 각인된 증표가 아닌가 생각이 든다.

항내작업장에 항시 쓰고 들어가는 Helm 옆면에 이 번호를 찍어 접착식 표식 넷텔을 단단히 부착시켜 놨다. 누구나 얼핏 볼 수 있게 한 거다.

항내에서 작업을 감독하는 Steiger나 작업장의 선임동료들은, 본인의 과오가 있거나, 자재 등 물건을 신청하여 교환 받거나 할 때 반드시 이 Marken Nr. 를 적어 간다. 스펠링에 오차가 있을 수 없고, 더욱이 외국인들에겐 발음하기도 어려운 이름들이 많으니 쉽게 이 번호 하나면, 신상파악은 시간문제지 전혀 어려울 게 없다.

1336호 14면, 2023년 10월 2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