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상금 1000억 원이 걸린 그림 ➁
약탈품 반환의 역사는 깊다.
기원전 1세기 로마 공화정 시대 유명 정치인이자 작가였던 키케로(Marcus Tullius Cicero, BC 106~BC 43)는 기원전 73년부터 3년간 시칠리아 총독을 지낸 베레스(Gaius Verres, BC 120?~BC 43)를 유물과 예술품을 훔쳤다며 재판에 넘겼다. 전쟁이 아닌 평화시의 약탈과 절도이지만 베레스는 ‘로마에 대한 불충’으로 유죄 선고를 받았다.
판결 직후 그가 시칠리아 사원 등에서 탈취한 유물들은 그대로 복원되었다. 문화재와 예술품 반환의 최초 기록 사례다. ‘정복 제국’ 로마에도 반환의 전통이 면면히 이어졌다.
문화재를 대규모로 약탈한 나폴레옹을 격퇴한 영국 웰링턴(Arthur Wellesley Wellington, 1769~1852) 공작도 약탈품을 유럽의 원래 소유국으로 돌려줄 것을 영국 정부에 건의했다. 영국과 프로이센 등 연합국 대표들은 1815년 9월 파리를 점령했지만 이런 연유로 파리의 루브르는 전승국의 약탈에 짓밟히는 운명을 피할 수 있었다.
제2차 세계대전 때 나치가 약탈한 문화재와 예술품이 속속 원래의 합법적 소유자나 그 상속인들을 찾아간다. 특히 반환 문제가 제기된 예술품과 문화재 소장자가 그 취득 경위와 역대 소장자의 획득 정당성을 입증하라는 ‘워싱턴 원칙’ 합의 이후 나치 시대 약탈품의 회복이 가속화하고 있다.
약탈 문화재 환수는 유물이 한 나라에서 다른 나라로 이동하는 단순한 물리적 위치 변경이나 한 나라의 컬렉션 부족 부분을 채운다는 문화적 자존심 높이기 차원을 넘어서는 문제다. 있어야 할 곳으로 되돌아가는 제자리 찾기라는 도덕적 당위성뿐만 아니라 약탈에 스며든 역사적 핏빛 폭력과 치유되지 않은 상처를 어루만지고 쓰다듬는 힐링의 길이다.
폴란드 외무부가 제2차 세계대전 때 자국에서 사라진 가장 유명한 작품 가운데 하나인 ‘젊은이의 초상화(Ritratto di giovane uomo)’가 위치를 밝힐 수 없는 은행 금고에서 발견되었다고 2012년 8월 1일 느닷없이 발표하자 세계 미술계의 관심이 집중되었다.
폴란드 외무부 대변인은 이 그림이 폴란드로 결국 돌아올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밝혔다. ‘화가의 왕자’로 불리는 라파엘로가 1513~1514년에 그린 ‘젊은이의 초상화’는 전쟁 때 증발한 최고 명성의 작품 가운데 한 점이다.
1939년 나치 침공이 다가왔다는 소식을 접하자 차르토리스키는 박물관에서 여러 귀중품들과 함께 초상화를 바르샤바 동남쪽 우크라이나와 가까운 시에니야바에 있는 개인 별장에 숨겼다. 그러나 불행히도, 작품들은 숨긴 지 2주 만에 나치의 악명 높은 비밀경찰 게슈타포에 의해 발견되어 약탈당했다.
약탈된 대표 작품은 ‘젊은이의 초상화’, ‘흰족제비를 안은 여인’, 그리고 렘브란트의 1638년 작품 ‘선한 사마리아인이 있는 풍경(Landscape with the Good Samaritan)’ 등으로, 히틀러 개인 미술관에 걸기 위해 독일로 보내졌다.
■ 히틀러가 눈독 들인 작품, 폴란드 총독이 빼돌려
그러나 히틀러가 임명한 폴란드 총독 한스 프랑크(Hans Frank, 1900~1946)가 1945년 1월 개인 목적으로 이 작품들을 독일에서 되가져와 자신의 사무실이 있는 크라쿠프의 중심지인 바벨 성으로 보냈다. 이것이 ‘젊은이의 초상화’의 마지막 행적이었다.
1월 하순 독일이 소련의 침공에 대비해 그림을 분산할 때 프랑크는 문제의 라파엘로 작품을 그의 고향으로 가져간 것으로 추정되지만, 공식적인 기록이나 보고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미군은 그해 5월 그를 체포했다.
다 빈치와 렘브란트 작품은 다행히 그의 고향 집에서 발견되어 폴란드로 돌아왔다. 그러나 라파엘로의 작품은 그의 고향 집에서도, 바벨 성에서도 발견되지 않았다. 그리고 1946년 프랑크는 전쟁범죄로 재판을 받고 처형되면서 ‘젊은이의 초상화’ 행방은 미궁 속에 빠져버렸다.
제2차 세계대전 때 대작의 행방을 추적한 『유럽의 겁탈The Rape of Europa』을 쓴 역사학자 린 니콜라스(Lynn H. Nicholas)는 이 그림의 가치가 1억 달러 이상이라고 추정한다.
문제의 작품은 약탈당한 뒤 도난당하는 ‘이중 약탈’의 제물이 된 것으로 보인다. 폴란드 외무부는 이 작품은 전쟁에서 불타거나 파괴되지 않고 살아남았다며 수년간 이 예술품 소재지를 안다고 말하지만 정확한 위치는 밝히지 않았다.
2012년 이 그림이 발견되었다는 언론 보도에 폴란드 외무부가 성명을 발표하는 소동을 벌였지만 결국 오보로 밝혀졌다. 그러나 폴란드 정부는 장소를 밝힐 수 없는 은행 금고에 보관 중이라고 주장한다.
재정이 넉넉하지 않은 폴란드 정부는 2016년 후손들로부터 차르토리스키 박물관 컬렉션을 모두 1억 유로에 사들였다. 박물관 컬렉션은 원고와 도서 등 25만 건과 작품 8만 6000여 점에 포함되어 있어 시장 가치는 적게 잡아도 20억 유로 이상이다. 차르토리스키 후손들이 1억 유로를 받았다고는 하지만 사실상 정부에 기증한 것이다. 폴란드 정부가 매입한 것에는 분실 상태의 라파엘로 초상화의 소유권도 물론 포함되어 있다.
‘젊은이의 초상화’는 독일, 미국, 스위스, 아니면 러시아의 개인 컬렉션에 들어가 있을 가능성도 있다.
공식적으로 확인된 것은 아무것도 없고, 그림의 행방은 여전히 오리무중이다. 폴란드 정부는 이 작품 회복에 1억 달러를 보상하겠다고 현상금 제공 의사를 밝힌 상태다. 차르토리스키 박물관은 이외에도 작품 800여 점을 분실했다고 신고해 두었다.
2014년 제작된 영화 ‘모뉴먼츠 맨’에서는 나치 독일이 한 광산에서 ‘젊은이의 초상화’에 불을 질러 훼손하는 것으로 묘사되었다. 그러나 영화 말미에서 프랑크 스토키로 분장한 조지 클루니가 어두운 방에서 루먼 대통령에게 보고하면서 스크린에 보이는 많은 그림은 여전히 되찾을 수 있다고 말하는 대목에도 이 작품이 배경으로 등장한다.
1314호 30면, 2023년 5월 1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