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를린의 운터 덴 린덴(Unter den Linden) ➃
독일은 서독 시절이던 1976년 8월 23일 유네스코 조약에 비준한 이래, 48건의 문화유산과, 3건의 자연유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탈리아와 중국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은 세계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교포신문사에서는 2022년 특집 기획으로 “독일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문화유산을 매 주 연재한 바 있다.
2023년에는 2022년 기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신청된 8곳과 신청 후 자진 탈퇴, 또는 유네스코에 의해 등재 거부된 문화유산을 살펴보았다.
2024년에는 구 동독지역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후보지를 살펴보도록 한다. -편집실
베를린의 운터 덴 린덴(Unter den Linden)은 파리의 샹젤리제(Champs-Élysées)거리에 비교할 만한 베를린을 대표하는 대로이다.
베를린 대성당(Berliner Dom)을 연결하는 슐로스 다리(Schloßbrücke)부터 브란덴부르크 문(Brandenburger Tor)까지 이어지는 폭 60m, 길이 1,5km의 대로인 운터 덴 린덴(Unter den Linden)은 이름은 직역하자면 “보리수나무 아래”라는 뜻이다. Linden 나무가 가로수가 잔뜩 심어져 있어서 거리 이름이 유래되었다.
그런데 보리수로 번역되는 린덴 나무(Lindenbaum)는 인도의 보리수 나무와 한국의 보리수나무로 불리는 품종과는 다른 품종의 나무이다. 원래 한국어가 없던 나무이므로 그대로 린데 나무로 부르는 것이 맞다.
2차세계대전 전까지는 그야말로 베를린의 중심. 지금 대성당 바로 옆 공터 자리에 원래 궁전이 있었고, 운터 덴 린덴은 궁전과 브란덴부르크 문을 연결하는 길이었다. 주변에 관청, 상업건물, 박물관, 극장 등이 빼곡히 들어섰고, 심지어 히틀러는 집권 당시 이 거리에 자신의 관저를 만들기도 했을 정도였다.
그러나 전쟁 당시 거리는 완전히 파괴되었고, 지금의 모습은 구 동독에서 재건한 것을 바탕으로 한다. 구 동독은 서베를린과의 관문인 브란덴부르크 문에서부터 시작되는 자신들의 중심지를 마음껏 과시하기 위해 이 지역을 아낌없이 개발하였다. 오늘날에도 수많은 상업시설과 박물관, 극장, 대사관, 호텔 등이 거리 양편에 줄지어 있다.
베를린 국립 오페라 극장(Staatsoper Unter den Linden)
지난 호에 이어 이번 회에서도 베를린 국립 오페라극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왕립오페라 하우스가 국립 오페라 하우스가 되기까지에는 몇 차례 역경이 있었다. 오페라가 시민들에게 확산되면서 좌석을 더 늘리기 위해 1788년에 개축했고, 1843년에는 화재로 인해 손실되어 다시 원래의 모습으로 재건되었다. 제1차 대전 때는 다행히 전화를 입지 않았으며, 프로이센 국립 오페라 하우스(Preusische Staatsoper)라고 개칭하고, 막스 폰 실링을 음악감독으로 영입하여 현대 작품들을 차례로 공연하였다.
리하르트 슈트라우스는 1908년부터 1913년까지 상임 지휘자를 역임하였으며, 음악감독으로도 임명되기도 했었다. 그는 음악감독 자리를 도이체 슈타츠오퍼(Deutsche Staatsoper)로 새롭게 태어난 1919년 11월까지 계속 유지 하였다. 황실 오페라와 독일 귀족들은 일차대전 후 그 막을 내리게 되었으며, 이 황실 오페라(Hofoper)는 슈타츠오퍼(Staatsoper), 즉, 국립 오페라 하우스로 개칭되었다. 이 무렵인 1925년 알반 베르크의 ‘보체크 (Wozzeck)’가 초연 되었다. 더 큰 무대를 위해 1910년에는 주무대를, 1926년에서 1928년 사이에는 옆 무대를 개조했으며, 확장 개보수 후 바이로이트 지휘자로 활약한 오토 클렘페러(Otto Klemperer) 를 영입하였다.
나치 집권 시기 슈타츠오퍼는 시련을 겪게 된다. 나치의 유태인 억압정책은 많은 베를린의 우수한 지휘자, 작곡가, 음악가들을 추방하게 만들었다. 오토 클렘페러 또한 나치에 의해 1933년 추방되었다.
슈타츠오퍼는 “우수한 아리안 예술가”들만이 지휘하고 노래하는 전통적인 오페라 작품만을 공연하는 것을 지속하였다. 즉, ‘국가 음악’ 또는 “민족의 대표 음악”이란 이름으로 바그너의 작품이 많이 공연되었고, 클렘페러가 추방된 후에는 푸르트뱅글러(Wilhelm Furtwängler)가 뒤를 이어 지휘를 했다.
전후 복구 최우선 과제, 슈타츠오퍼의 재건
슈타츠오퍼는 1945년 2월 3일 연합군의 폭격을 받아 건물이 완전히 파괴되었다. 전쟁 후, 패전국가 독일은 재정적으로 상당한 어려움을 겪게 되었고, 연합군의 통제를 받게 된다. 이때 연합군이 독일정부에 사회기반시설 구축의 최우선 과제를 요구하라고 했을 때, 놀랍게도 독일 정부와 국민들은 전후 복구 지원의 최우선 과제로 파괴된 이 오페라 하우스의 재건을 선택했다. 오페라와 독일문화에 대한 독일인들의 놀라운 의식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재건 당시 외관과 기본적 구상은 크노벨스토르프(Knobelsdorff)의 아이디어를 그대로 표현하여 1952년 착공하여 1955년 9월 준공했다. 내부는 완전히 현대식으로 개조하여, 120명을 수용하는 오케스트라 박스는 수압으로 상하가 움직이도록 했고, 잔향은 2초 가 조금 못되도록 하여 오페라 하우스로서는 이상적인 구조였다. 수용 인원도 종래의 5층에서 한 층 줄인 4층으로 하여, 객석은 1,396석이 되었다.
하지만, 베를린의 장벽 설치와 함께 많은 음악가들이 서독의 도이치 오퍼 베를린으로 떠나버렸고, 동독정부의 무관심으로 시설이 낙후하기도 하였으나, 테오 아담, 페터 슈라이어등 동독이 자랑하는 위대한 음악가들이 이곳 슈타츠오퍼를 지키면서 명성을 이어나갔다.
통일 후에는 세계에서 가장 명망 있는 지휘자중의 하나인 다니엘 바렌보임(Daniel Barenboim)을 음악 총감독으로 영입하면서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게 된다. 슈타츠오퍼 250주년이던 1992년 바렌보임은 도이체 슈타츠오퍼의 지휘를 수락한 이후, 한때 다른 베를린의 오페라 하우스들 사이에 뒤떨어져 있던 이곳을 유럽에서 가장 뛰어난 오페라 하우스중의 하나로 변모시켰다.
1356호 31면, 2024년 3월 2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