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온, 돌아와야 할 우리 문화유산
-잃고, 잊고 또는 숨겨진 우리 문화유산 이야기(27)

서양식 별자리 88개, 우리 별자리 280개

과학의 자산, 천문관측 기록

밤하늘에 유성이 비가 오듯 쏟아지는 쇼가 있다. 소원을 수백 번 빌려고 노력해도 어느새 하늘의 쇼에 빠지고 만다. 간혹 불꽃을 내며 하늘을 질주하는 화구를 보면 놀람과 경이의 탄성을 지르기도 한다.

유성우는 혜성이 태양 주위를 지나가면서 뿌려 놓은 별똥이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성종 21년(1490) 40여 일간 21회 관측한 혜성 기록이 있다. 영국왕립천문학회(MNRAS)는 이 혜성의 잔해가 오늘날 사분의자리 유성우 기원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한국의 천문관측 기록은 과거를 넘어 현재에도 유용한 과학의 자산이다.

삼국시대에도 일식은 매우 중요한 천문 현상이었다. 삼국이 공존했던 660년까지의 일식 기록을 살펴보면, 백제 26건, 신라 20건, 고구려가 11건이다. 삼국에서 백제가 가장 많은 천문기록을 남긴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6~7세기 사비백제(부여)는 일본의 아스카 문명을 꽃피울 만큼 문명 교류의 중심지였다. 역사서에는 백제가 일본에 역박사를 파견하고, 물시계를 제작했으며, 점성대(占星臺)를 축조하는 등 천문학의 완전체를 전수해주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사서에는 삼국시대에 490여 건, 고려시대에 5,000여 건의 천문기록이 있다. 조선시대에도 20,000여 건의 방대한 천문기록을 남겼는데, 한 왕조가 오랜 기간 천문기록을 남긴 것은 4대 문명에서나 볼 수 있는 전형이다. 인류가 농업혁명과 목축혁명을 통해 잉여의 경제를 앞세워 문명을 만들어내기 시작한 것이 천문학사에 남아 있는 인류의 유산이기 때문이다.

천문 관측을 기록으로 남기려면 하늘의 밝은 별들을 연결해 반드시 별자리로 만들어야 한다. 「천상열차분야지도」(국보 제228호)는 280여 개의 우리 별을 담고 있어 오늘날 서양식의 88개 별자리와 대비된다. 이 천문도는 조선 태조 때 제작한 것으로 이후 조선의 모든 천문기록의 기준이 되었다. 「천상열차분야지도」는 고구려의 밤하늘이 담긴 「천문도」 탁본을 구해 돌에 새긴 것이었다.

우리 눈으로 본 우리 별자리, 바로 알자

우리가 배워서 알고 있는 대부분의 별자리는 1930년, 국제천문연맹(IAU)이 정한 88개의 별자리이다. 88개의 별자리는 황도 12개, 북반구 28개, 남반구 48개의 별자리로 대부분 그리스・로마 신화 속 동물이나 영웅들을 하늘의 별자리로 그린 것들이다. 헤라클레스자리, 황소자리, 오리온자리, 페르세우스자리, 안드로메다자리 같은 이름들로.

그러나 ‘남두육성’과 같이 우리 선조들의 눈으로 본 별자리들이 있다. 2019년 우리의 별자리 지도를 조사하러 일본 국회도서관, 동양문고도서관 등지를 방문 조사했는데, 그중 일본 국회도서관에서 본 박연의 「혼천도」를 잊을 수 없다. 세종 때 제작한 별자리 지도가 펼쳐지는 순간 우리 조상들의 하늘 세계가 함께 펼쳐진 것이다.

이 별지도에는 처음 들어본 낯선 별자리들이 빼곡히 기록되어 있었다. 무려 45개의 별을 묶은 우림군(羽林軍, 하늘의 군대를 나타내는 여러 개의 별들), 하늘 농장, 하늘의 조정, 하늘의 종묘, 식물원, 동물원 등 땅 위의 세상을 하늘로 옮겨 놓은 선조들의 별자리 세상이 펼쳐졌다.

별자리마다 사연과 이야기를 간직하고 있는데 전래동화 「견우와 직녀」로 잘 알려진 견우성과 직녀성이 그 예이다. 그리고 “이 별을 보면 오래 산다”는 노인성은 2~3월 저녁에 제주도 남단에서도 볼 수 있다고 한다.

「구장천상열차분야지도」(미 의회도서관 소장)

우리의 옛 선인들은 오랜 기간에 걸쳐 많은 것들을 기록으로 남겼다. 이런 노력들 덕분에 한국은 세계기록유산을 전 세계에서 네 번째로 많이 가지고 있는 나라가 되었다. 독일 23건, 영국 22건, 폴란드 17건이고 한국이 16건이 등재되었다.

여기에 추가해서 ‘고대 천문 기록’을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해야 한다. 『삼국사기』,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등에 기록한 천문 기록만 140만여 건이다. 오랜 기간에 걸쳐 지속적이고 광범위하게 관측했을 뿐만 아니라 정확도에서도 중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일본을 뛰어넘는다.

1437년에 기록된 전갈자리 신성(「세종실록」)과 1604년에 관측된 케플러 초신성(「선조실록」) 등 희귀한 천문 관측 기록을 남겼는데 이는 세계적으일본 국회도서관에 소장된 조선시대 박연의 「혼천도」로도 귀중한 천문 기록으로 평가 받고 있다.

이제는 국외로 반출된 고대 천문 기록과 유물을 되찾는 일과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하는 일, 고대 천문을 잘 알릴 수 있는 ‘고천문역사박물관’을 건립하는 일을 시작할 때이다.

한국의 천문학은 과학사의 귀중한 유산

천문 기기의 발달은 관측 자료의 정확성을 높여 주는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조선 세종 대에는 당대 최고였던 이슬람과 중국의 과학기술을 소화화여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관측 기기들을 개발했다. 표준시계인 보누각루의 시각 교정을 위해 ‘일성정시의’를 제작해 사용했고, 혜성 관측을 위해 ‘소간의’를 활용했다. 일성정시의는 낮에는 해로, 밤에는 별로 시간을 측정하는 기기이고, 소간의는 눈으로 보는 소형의 천체 위치 측정기였다.

삼국시대에는 하늘을 보는 일관(日官)이 있었고, 고려에는 서운관, 조선에는 관상감을 설립하여 천문 관측 기록을 남겼다. 일제강점기를 지나 대한민국의 국립중앙관상대, 국립천문대를 거쳐 한국천문연구원에 이르기까지 2천여 년간의 과학기술 전통이 계속되고 있다.

영국인으로 중국의 천문학을 연구하다 조선의 천문학의 독창성을 깨달은 과학사 연구자인 조셉 니덤(Joseph Needham1900~1995)은 “한국의 천문학은 동아시아 천문학 전통의 독창적인 민족적 변형이었고, 한국 천문학이 만들어 낸 각종 관측기구와 기록은 세계 과학사의 귀중한 유산”으로 평가했다는 점에서 우리의 땅에서 우리의 눈으로 본 별자리 이야기를 미래 세대들에게 제대로 들려주어야 할 것이다.

1276호 30면, 2022년 7월 2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