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크푸르트. 2019 KOTID(Korea’s Tanz in Deutschland) 독일 한국무용 페스티벌이 Grenzenlos(경계가 없는)라는 주제로 지난 10월 24일부터 26일까지 프랑크푸르트 Gallus Theater에서 열렸다.
춤이라는 몸짓으로 혼미한 시대에 하나가 되게 소망하는 마음으로 열린 이 대회는 첫날에는 독일 및 유럽에서 활동하고 있는 한국 무용수들이 갖고 있는 정서의 뿌리를 부채춤, 소고춤 등 한국 전통무용을 통해 보여주고자 했다.
<김백봉류 부채춤>(평안남도 무형문화재 제 3호, 김진희)은 부채를 양손에 들고 여러 가지 아름다운 모양을 구사하며 추는 무용으로 의상이 만들어 내는 곡선, 부채를 펼쳐들 때 뻗은 팔의 선 등을 통해 아름다움을 표현한다.
민속무용인 <소고춤>(곽채린)은 마당에서 노는 축제의 성격을 띠며 농악에서 벅구 놀음의 독특한 춤사위와 가락을 짜임새 있게 구성하여 무대화 시킨 춤이다.
<한영숙류 살풀이>(윤세희)는 살풀이 장단에 춤을 붙여 춤추는 이의 내면의 세계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고도의 기교가 요구되는 춤으로 인간의 한과 비애를 풀어 슬픔을 기쁨으로 승화시킨다.
<부채산조>(정송이)는 한국 여인의 단아하고 아름다운 마음을 춤동작의 절제미를 통해서 서정적으로 그려낸 춤이다. <진도북춤>(김진희)은 남성적이고 아름다운 몸짓과 조화를 이루는 특징을 갖고 있다. <정재만류 태평무>(윤세희)는 나라와 백성의 태평성대를 바라는 왕과 왕비의 마음을 담은 춤이다.
둘째 날은 유럽예술대학교 무용과 학생들의 재능을 선보이는 날이었다. 세대 간의 제한과 국적의 제한을 두지 않고 젊은 댄서들의 미래를 보여주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세대 간의 거리를 좁히고 서로를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이 되길 소망한다. 작품으로는 감정을 담고 있는 내면의 형태와 그 공간에 대한 탐구 <Cube> 등이 공연되었다.
셋째 날은 음악, 미술, 무대장치 등 무용과 타장르 예술과의 다양한 콜라보레이션의 무대를 선보였다. 춤을 비롯한 예술의 무한한 가능성과 함께 관객과 소통하고 하나의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가치 있는 시간을 만들고자 하였다. <시간을 갈다>(배정윤)는 공간을 그리는 몸을 정갈하게 갈고 준비하며 돌이킬 수 없는 첫 획을 긋는 과정을 보여준다. <Johannes-Passion-Ach mein Gott>(이윤경)는 마리오 슈뢰더의 안무 Johannes-Passion의 작품에서 절망과 외로움, 실패와 용서의 순간을 탐구한다. <Body Symphonic>(정혜민)은 Guillaume Valette와 정혜민의 콜라보레이션으로 모든 즉흥 움직임과 소리가 만나서 비어 있는 시간과 공간을 무대화시킨다.
<The Humanline>(SSD-ance Project)은 고암 이응노 화백 <군상> 연작을 모티브로 창작한 작품이다. 서예적 기법 ‘선’을 한국춤 움직임과 호흡으로 풀어내어 인간이 춤을 추며 그려내는 ‘선’에 초점을 두어 안무하였다. <스스로 나를 가두는 것>(박희진)은 철학적인 주제를 풀어낸다. <Tricolore>(임선영)작품에서는 원초적 형태에서는 나눠져 있지 않았던 음악, 춤, 그리고 참여라는 세 가지 상황을 탐구한다. 한편, 부대행사로 윤세희 교수의 한영숙류 살풀이 워크샵을 개최하였다.
모진희 코티드 운영위원(유카탄츠 대표)은 공연기획에 관심이 있어 독일로 유학, 활동해왔다. 이후 2017년 무용전문 컨설팅 센터인 유카탄츠 10주년 기념으로 KOTID를 갈라 형식으로 기획, 반응이 좋아 이후 매년 축제로 개최하고 있다. 지속적인 축제로 이어질 수 있었던 것은 대중들이 무용에 대한 재미를 느낄 수 있고, 한국 무용수들이 한자리에 모여 신선한 자극과 힘을 얻게 됨을 그 이유로 꼽았다. 한국 무용수들의 기량의 뛰어남을 칭찬하고 대중들의 피드백도 좋지만 아직은 재정적인 부분이 충분하지 않아 어려운 점이 있다고 한다. 무용수들의 재능기부와 모진희 대표의 지원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KOTID는 작년에 운영위원회를 만들었으나 후원이 활발하지는 않은 상태다. 한국전통무용에 대한 인식이 아직 확장되지 않고 인기가 많지 않은 것이 못내 아쉽다고 한다. 하지만 한국무용의 가치를 더욱 열심히 전파하려고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한국무용교육은 테크닉 중심인 반면 독일무용교육은 표현력과 재능과 가능성을 보고 대학 학생들을 선발하며 자유로운 분위기가 존재한다고 한다. 그래서 한국에서 테크닉을 연마하고 온 학생이 독일에서 창의적인 교육을 더하면 더욱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서양무용은 스토리를 가지고 있고 극적인 부분이 특성이라 할 수 있고 한국무용은 한 장면에서 동양철학사상 등이 선 중심으로 표현되는 차이점을 볼 수 있다고도 설명했다. 모 대표는 예술의 콜라보레이션 트랜드에 대해 미디어 시대에 한 가지 장르로 볼거리 제공은 한계가 있어 타장르를 결합하기도 하며 또한 타장르 속에서 새로운 영감을 얻어 발전의 원동력으로 삼기도 한다고 언급했다.
예를 들어 한국무용, 발레, 현대무용 등 각 장르의 경계선이 모호해지고 있고 이는 다시 결합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이 트랜드라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예술이라는 하나의 테두리 안에서 각 분야가 서로 조화되고 융합되었을 때 더욱 큰 시너지 효과와 풍성한 창의성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미연기자 my.areist@daum.net
2019년 11월 1일, 1145호 2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