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치히: 구시가지 골목 모두가 역사의 현장 ➇
라이프치히(Leipzig)는 2차 세계대전 전만 하더라도 독일에서 손꼽히는 대도시였다. 1915년 완공된 라이프치히 중앙역은 당시 유럽 최대 규모였으며, 1930년대에 인구가 70만 명에 이른 독일의 손꼽히는 대도시로서 번영을 구가하였다.
독일의 교육, 상업, 예술의 중심지 중 하나였던 라이프치히는 안타깝게도 동서독 분단 시기를 거치며 동독 사회주의 체제의 몰락과 운명을 같이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1990년 독일통일 후에 독일 정부와 라이프치히 주민들의 노력으로 라이프치히는 지난 역사와 전통을 존중하면서도 새로운 상상력을 통해 변화와 성장을 거듭해왔다. 구동독 지역은 어둡고 위험하다는 여전히 존재하는 선입견의 장벽을 허물어트릴 만큼 매력적인 도시로 탈바꿈하고 있다.
예부터 출판업이 발달하였고 높은 수준의 오페라 극장이 있기 때문에 오늘날에도 그 전통은 남아있어 독일 내에서 문화가 가장 발달한 곳 중 하나로 꼽힌다. 독일의 대표적 음악가인 바흐(J.S. Bach)의 고장이기도 하다.
라이프치히는 괴테가 ‘작은 파리’라는 애칭을 붙여 주었던 도시로도 유명하다. 젊은 시절 라이프치히대학에서 수학했던 괴테는 훗날 그의 자서전 ‘시와 진실’에서 생각과 마음이 맞는 지식인들과 한 도시에 모여 살며 교류할 수 있는 것보다 더 큰 행복은 없다며 당시 라이프치히에서의 삶을 회상했다.
이와 더불어 독일 분단 시절, 구 동독의 민주화를 요구하는 대규모 민중 시위가 열려 통일의 초석을 놓은 도시라는 점은 오늘날까지도 라이프치히 시민들의 자부심으로 남아있다.
◈ 문화와 음악의 산실을 찾아
라이프치히는 과히 클래식의 성지이자 도시 전체가 서양음악사의 산 현장이다.
라이프치히 시에서 만든 프로그램 ‘라이프치거 노텐스푸어(Leipziger Notenspur)’를 이용하면 라이프치히가 왜 “음악의 도시”, “클래식의 성지”임을 깨닫게 된다. 라이프치히에 있는 음악 명소 27곳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함께 음악도 들을 수 있다.
이번 호에서는 아우구스트광장 맞은편 쪽(구시가지와 반대쪽)에 위치한 멘델스존 하우스와 슈만하우스, 그리고 그라시박물관을 살펴보도록 한다.
이동 편의상 멘델스존하우스에서 그리시박물관, 슈만하우스를 살펴본다.
멘델스존하우스
멘델스존하우스(Mendelssohn-Haus)는 Goldschmidtstraße 12에 위치해 있다.
멘델스존의 라이프치히에서의 활동은 멘델스존 동상과 바흐 이야기, 그리고 게반크하우스 편에서 자세히 소개했기에, 이번에는 멘델스존 하우스에 대해서만 소개하고자 한다.
1844년 신고전주의양식으로 건축된 멘델스존의 집에 펠릭스 멘델스존 일가가 입주한 것은 1845년, 멘델스존이 죽기 2년 전이었다. 이때 펠릭스 멘델스존의 가족은 이미 6명, 펠릭스 멘델스존과 아내 세실 멘델스존, 아들 칼 멘델스존과 파울 멘델스존 그리고 펠릭스 멘델스존 주니어, 마리 멘델스존이었다. 멘델스존이 이 집으로 이사 오고 얼마 지나지 않은 1845년 9월에는 부부의 막내딸 릴리 멘델스존이 태어난다.
멘델스존 사후 멘델스존의 아내는 아이들을 데리고 시댁이 있는 베를린으로 이사하니, 이 집은 멘델스존 가족의 딱 2년 만을 함께한 집이다. 하지만 멘델스존이 살았던 라이프치히의 신혼집, 루르겐슈타인스 가르텐(Lurgensteins Garten)이나 멘델스존의 십 대와 이십 대 초중반을 책임져 준 베를린의 라이프치히 거리 3번지는 이미 헐렸고 멘델스존이 살았던 건물 가운데 남아 있는 건물은 이곳밖에 없으니, ‘멘델스존하우스’라는 명칭은 아마 이후로도 멘델스존하우스가 더 생긴다 하더라도 이곳만 쓸 수 있는 명칭일 것이다.
멘델스존 하우스 1층(한국식)의 마지막 전시실에 전시되고 있는 것은 바로 1차 게반트하우스의 모형이다. 멘델스존이 살았던 시대의 모습을 재현해 놓은 대형 모형과 함께 게반트하우스가 라이프치히에서 가진 의미와 1842년 확장공사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 있다. 그리고 뒤를 돌면 멘델스존과 관련이 있는 동시대의 물품이나 멘델스존이 소장하고 있던 물품 등이 다양하게 전시되어 있다. 멘델스존의 수채화 원본부터, 세실 멘델스존의 진주 달린 십자가와 실크 부채, 멘델스존이 주고받은 편지, FMB 이니셜이 박힌 은촛대, 멘델스존과 세실 멘델스존의 초상화, 손 석고, 멘델스존의 조카 제바스티안 헨젤이 출간한 ‘멘델스존 가족’ (Die Familie Mendelssohn) 초판본 등이 다양하게 전시되고 있다.
2층 전시실가운데 4번째 방이 최대한 원본을 그대로 복원한 세실 멘델스존의 방이다. 대부분의 물건들이 멘델스존 가족들의 컬렉션에서 영구 대여해 온 것이다. 때문에 보존 문제로 인해 (바이마르 리스트 박물관과는 다르게) 출입을 제한하고 있어 바깥쪽에서 방 안쪽을 살짝 들여다보는 정도로 만족해야 한다.
멘델스존하우스에서 가장 특징적인 곳은 1층의 Effektorium이다. 이곳은 2014년 설치된 체험형 전시로, 멘델스존의 합창곡과 멘델스존의 기악 음악 두 가지 종류를 직접 지휘해 볼 수 있다. 각각의 악기나 성부의 소리가 나오는 스피커들 십 수개가 놓여 있고, 체험자는 보면대 앞에 서서 지휘봉을 들고 속도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보면대에 센서가 있기 때문에 보면대의 센서를 중심으로 해서 동작을 수행해야 가장 원하는 효과를 잘 누릴 수 있다.
쿠르트 마주어 기념관
멘델스존하우스 일부에는 2017년 쿠르트 마주어 기념관(Kurt-Masur-Institut)이 들어섰다.
그곳에는 마주어의 음악적 경력뿐만 아니라 조국의 민주화에 앞장서고 나아가 통일에 기여했던 한 용감한 민주시민으로서의 그가 전시되어 있다.
마주어는 1981년 새롭게 개관한 게반트하우스의 지휘자였다.
역사적인 1989년 10월 9일 월요일, 게반트하우스의 음악 감독 마주어의 집에 저명한 시민 6명이 대표로 모여서, 그날 예상되는 유혈 사태를 방지할 방도를 의논했다. 저녁이 되어 엄청난 시위대가 광장에 운집하자, 게반트하우스의 문이 열렸다. 총격에서 시위대를 피신시키고자 마주어가 개방했던 것이다. 그리고 그곳에서는 시민들의 자유 토론이 벌어졌고, 마주어는 그들에게 평화적 시위를 외쳤다. 이어 마주어는 게반트하우스에서 지휘봉을 들어 시위대가 주제곡처럼 부르던 노래 ‘우리는 국민이다(Wir sind das Volk)’를 열정적으로 지휘하였다.
이제 민주화를 향한 흐름은 봇물처럼 터졌다. 정확히 한 달 후인 11월 9일에 드디어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고 동독 정권은 스스로 종말을 선포했다. 그 모든 것이 라이프치히에서 시작된 것이었다. 마주어는 국민적 영웅이 되었고, 심지어 대통령 후보로까지 거론되었다. 그 말을 들은 마주어는 “내가 그 정도로 나쁜 사람입니까?”라며 웃었다.
1991년 미국의 뉴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가 새로운 상임 지휘자로 마주어를 선임하자 모든 사람이 예상외의 결정에 놀랐다. 공산 동독의 시골에서 지휘하던 그가 뉴욕이라는 자유민주주의와 자본주의의 중앙으로 가게 된 것이다. 뉴욕으로서는 공산 세계를 무너뜨린 이 상징적인 인물이야말로 그들의 새로운 지휘자감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렇게 마주어는 10년간 뉴욕에서 지휘자 생활을 하였고, 그 후로는 독일의 지방 지휘자가 아니라 세계적인 명사가 되어있었다. 이후로 그는 런던과 파리에서 세계 정상급 악단을 이끌기도 하였지만, 결국 그는 30년간 자신의 모든 것을 바쳤던 라이프치히의 시민으로 돌아갔다. 공산 독재 아래에서 대부분의 음악가가 악보 뒤에 숨어서 연주만 하고 몸을 사릴 때, 마주어는 분연히 일어나서 혁명가나 정치가들도 하지 못한 일을 해냈던 것이다.
음악가 중에는 음악만 알면 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음악가는 세상을 알아야 진짜 예술이 나온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 바로 쿠르트 마주어가 그런 음악가 였던 것이다.
그라시박물관

Johannisplatz에 위치한 그라시박물관(Grassimuseum)은 경제·문화적으로 윤택했던 19세기 후반 라이프치히의 자본가들이 세계의 민속문화를 수집하기 위해 1869년에 만든 박물관이다. 이들은 세계 각지에 나가있는 독일 외교관이나 상인을 통 하여 외국의 민속·문화자료를 수집했고, 이 자료들이 라이프치히 그라시민속박물관 소장품의 토대를 이루었다.
그라시박물관은 민속 박물관, 악기 박물관, 공예 박물관 등 3개의 테마로 이루어진 박물관으로 민속 박물관(Museum für Völkerkunde)은 5개 대륙의 민속품이나 생활양식을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자료들이 전시되어 있고, 악기 박물관(Museum für Musikinstrumente)은 라이프치히 대학교(Universität Leipzig) 소속으로 르네상스 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5천여 점의 악기를 전시하고 있으며, 공예 박물관(Museum für Angewandte Kunst)은 중세부터 바우하우스 시대까지 도자기나 공예품 등을 전시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에게 더욱 우리에게 의미 있는 것은 3000 여점의 한국문화재가 소장되어 있다는 점이다. 대부분 19세기쯤 우리나라를 드나들었던 외교관, 상인 등이 수집한 근대기 유물이다.
그라시박물관이 소장한 가장 오래된 컬렉션은 폰 묄렌도르프 소장품이다. 이는 또한 독일의 박물관을 위해 조성된 한국 컬렉션 중 가장 오래되고 체계적으로 수집된 것이기도 하다.
285건의 유물을 기증한 묄렌도르프의 주된 목적은 그 당시 아시아의 동쪽 끝에 있으면서 거의 알려지지 않았던 국가에 대해서 알리고 싶었던 것이었으며 그 곳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삶과 기술에 대한 사실적인 모습을 보여주기 위함이었던 것을 알 수 있다.
슈만 하우스(Schumann Haus)

슈만과 클라라는 결혼 다음 날인 클라라의 21번째 생일에 한 건물에 이사를 가게 되었다. 그리고 Inselstraße 18에 위치한 집에서 1844년 드레스덴으로 가기 전까지 살았는데, 바로 라이프치히의 슈만 하우스(Schumann Haus)이다.
슈만 하우스는 라이프치히 외에도 슈만이 태어난 츠비카우(Zwickau), 클라라와 슈만이 1852년부터 1854년까지 머물렀던 뒤셀도르프(Düsseldorf) 등 몇몇 곳이 있다.
이 중에서도 클라라가 태어난 곳이자 그녀가 슈만과 처음 만난 라이프치히에 위치한 슈만 하우스는 이들이 결혼하여 신혼 초 4년 동안 살았던 곳이다. 또한 그들이 머무는 동안 리스트, 멘델스존(Felix Mendelssohn Bartholdy, 1809-1847), 베를리오즈(Hector Berlioz, 1803-1869)와 같이 이름만 들어도 알법한 동료 음악가들이 방문하기도 했다.
이 곳에서 슈만은 《사랑의 봄》(Liebesfrühling, op. 37), 교향곡 《봄》(Spring Symphony, op. 38), 《시인의 사랑》(Dichterliebe, op. 48), 피아노 5중주(Piano Quintet, op. 44) 등을 작곡했고, 피아노 5중주를 비롯한 많은 곡들이 클라라의 피아노 연주로 게반트하우스에서 초연되었다.
슈만의 많은 작품들이 클라라의 연주와 함께 탄생한 것과 더불어, 그 근방 지역이 브라이트코프 운트 헤르텔(Breitkopf & Härtel)과 페터스 에디션(C. F. Peters)이 시작된 음악 인쇄와 출판의 중심지였으니, 한마디로 라이프치히의 이 집은 슈만 부부에게 창의적인 음악 활동이 가능했던 ‘꿈꾸는 신혼집’이었던 셈이다.
슈만 하우스 안에는 슈만의 자필본, 클라라가 연주했을 1825년 경의 프리드리히의 피아노를 볼 수 있다. 그리고 지금도 음악회가 열리는 ‘슈만 살롱’(Schumann Salon)이라 불리는 널찍한 응접실을 통해서 슈만과 클라라뿐만 아니라 방문했던 동료 음악가들이 연주하는 모습도 상상해볼 수 있다.
1405호 20면, 2025년 4월 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