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휘 원장의 건강상식
갑자기 찾아온 심한 코막힘과 두통, 얼굴의 압박감 때문에 일상생활이 힘드시다면 급성 부비동염(急性副鼻洞炎, Acute Sinusitis)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부비동은 콧속 주변의 얼굴뼈에 있는 빈 공간으로, 이곳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 바로 부비동염입니다. 특히 급성 부비동염은 감기와 유사한 증상을 보이지만, 그 고통은 훨씬 심하고 오래 지속될 수 있습니다. 이번 기사에서는 급성 부비동염의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예방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급성 부비동염은 부비동 점막에 급성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주로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지만, 세균이나 곰팡이 감염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감기나 알레르기 비염으로 인해 부비동 입구가 막히면, 분비물이 고여 염증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또한, 치아 감염이나 비중격 만곡증과 같은 구조적 이상도 급성 부비동염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면역력이 약한 사람이나 흡연자, 알레르기 질환을 가진 사람들은 급성 부비동염에 걸릴 위험이 더 높습니다.
급성 부비동염의 주요 증상은 코막힘, 콧물, 얼굴 통증, 두통입니다. 콧물은 초기에는 맑은 콧물로 시작하지만, 점차 누렇거나 초록색의 끈적한 콧물로 변합니다. 얼굴 통증은 주로 이마, 뺨, 눈 주위에서 나타나며, 특히 아침에 심하고 고개를 숙일 때 더 심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두통은 앞머리나 관자놀이 부위에서 발생하며, 심한 경우 미열이나 권태감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후각 감퇴나 치통이 나타나기도 하며, 심한 경우 안와봉와직염이나 뇌수막염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급성 부비동염은 증상과 병력 청취, 그리고 비강 내시경 검사를 통해 진단합니다. 비강 내시경 검사는 코를 통해 작은 내시경을 삽입하여 부비동 입구와 점막의 상태를 직접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경우에 따라 X선 검사나 CT 검사를 시행하여 부비동의 염증 정도와 범위를 파악하기도 합니다.
세균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콧물의 세균배양검사를 통해 원인균을 확인하고,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 비염이 동반된 경우에는 알레르기 검사를 통해 원인 알레르겐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급성 부비동염의 치료는 원인과 증상의 정도에 따라 다릅니다.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급성 부비동염은 대부분 자연적으로 호전되지만, 증상 완화를 위해 생리식염수 코 세척, 비강 스프레이, 진통제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세균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항생제를 사용해야 합니다. 항생제는 반드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사용해야 하며, 증상이 호전되더라도 처방된 기간 동안 꾸준히 복용해야 합니다.
만약 약물 치료로 증상이 호전되지 않거나 합병증이 발생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합니다. 부비동 내시경 수술은 코를 통해 내시경과 수술 기구를 삽입하여 부비동 입구를 넓히고 염증을 제거하는 수술입니다.
급성 부비동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하고, 감기에 걸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손을 자주 씻고, 사람이 많은 곳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실내 공기를 깨끗하게 유지하고, 적절한 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알레르기 비염이 있는 사람은 알레르겐을 피하고, 꾸준히 알레르기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면역력 강화도 중요합니다. 규칙적인 생활 습관과 균형 잡힌 식사를 통해 면역력을 높여 감염에 대한 저항력을 키워야 합니다. 흡연은 부비동 점막을 자극하고 면역력을 떨어뜨리므로 금연하는 것이 좋습니다.
급성 부비동염은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만성 부비동염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만성 부비동염은 증상이 오래 지속되고 재발이 잦아 치료가 더욱 어렵습니다. 따라서 급성 부비동염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을 방문하여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고열, 심한 두통, 시력 저하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면 응급 상황일 수 있으므로 즉시 응급실을 방문해야 합니다.
급성 부비동염은 치료와 함께 생활 습관 개선도 중요합니다. 충분한 수분 섭취는 콧물을 묽게 하고 배출을 돕습니다. 따뜻한 수건으로 얼굴을 찜질하면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또한, 코를 너무 세게 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코를 세게 풀면 염증이 다른 부비동으로 퍼질 수 있습니다.
가습기를 사용하여 실내 습도를 적절하게 유지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건조한 공기는 코 점막을 건조하게 만들어 염증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급성 부비동염은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특히, 소아의 경우 안와봉와직염이나 뇌수막염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안와봉와직염은 눈 주위 조직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눈이 붓고 충혈되며 시력 저하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뇌수막염은 뇌를 둘러싼 막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고열, 심한 두통, 구토, 의식 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합병증이 의심된다면 즉시 병원을 방문하여 응급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급성 부비동염은 적절한 치료와 관리를 통해 충분히 호전될 수 있는 질환입니다. 하지만 만성 부비동염으로 진행되면 치료가 더욱 어려워지므로, 초기 대응이 중요합니다.
평소 생활 습관 관리를 통해 급성 부비동염을 예방하고,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을 방문하여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꾸준한 관리와 치료를 통해 건강한 코와 부비동을 유지하시기 바랍니다.
급성 부비동염은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는 흔한 질환이지만, 방치하면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사람이나 소아는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
평소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하고, 감기에 걸리지 않도록 주의하며, 급성 부비동염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을 방문하여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꾸준한 관리와 치료를 통해 건강한 삶을 유지하시기 바랍니다.
급성 부비동염은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초래하는 질환이지만, 적극적인 대처를 통해 충분히 극복할 수 있습니다. 평소 건강 관리에 힘쓰고, 급성 부비동염 증상이 나타나면 주저하지 말고 병원을 방문하여 전문의의 도움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교포신문사는 독일에 거주하는 한국인들의 건강증진에 도움이 되고자 김종휘원장의 건강상식을 격주로 연재한다. 김종휘원장은 베를린의 의학대학 Charité에서 의학과 졸업 및 의학박사 학위취득을 하였고, 독일 이비인후과 전문의이며, 현재는 프랑크푸르트 HNO Privatpraxis에서 진료를 하고 있다. www.hnopraxis-frankfurt.de
1404호 25면, 2025년 3월 2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