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의 과학기술, 환경, 에너지 정책 ②
◈ 독일 공공연구협회 현황
독일에서 공공 재원으로 운영되는 정부출연 연구기관은 막스플랑크, 프라운호퍼, 헬름홀츠, 라이프니츠 등 4대 연구협회에 속해 있으며, 연구협회별로 연방정부와 주정부 연구비 지원 비율이 다르게 적용되는 등 매우 합리적이고 체계적으로 조직되어 있다.
1) 막스플랑크 연구협회(MPG : Max Planck Gesellschaft)
1911년 설립된 카이저 빌헬름 연구협회 후신으로 1948년부터 현재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본부 소재지는 뮌헨으로, 국내 관련 기관 간 공동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특히 인근 대학과의 연구 협력을 중시하고 있다.
기초과학, 생물 의학, 인문과학 분야의 83개 연구기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종사 인력은 약 2만 1천 명이며, 운영예산 약 18억 유로(2016년)이다.
예산의 약 80%는 연방 및 주정부가 50:50 분담하고, 약 20%는 정부 및 EU 등 프로젝트 수주 및 후원금 등으로 조달하고 있다. 또한 새로운 연구개발 수요 발생시 동 분야에 뛰어난 과학자를 초빙하여 신규 연구소를 설립하고, 연구 목표가 달성되거나 불필요하게 될 경우 또는 적절한 후임 연구소장이 없을 경우에는 해체한다. (Harnack 원칙)
주요 연구분야로는 물리학, 생물학, 천문학, 화학, 의학, 대기 및 지구 역사, 사회, 법률, 수학이 있다.
2) 프라운호퍼 연구협회(FhG : Fraunhofer Gesellschaft)
2차대전 후 독일 경제 재건을 위해 응용연구 개발을 목적으로 1949년 발족되었으며 뮌헨에 본부를 두고 있다. 바이에른 주정부 후원을 받는 지역 비영리단체로 출발하였으나, 1961년부터 전국적 규모의 연구협회로 발전하였다.
에너지, 환경, 전자, 재료 등 산업 응용 분야에서 67개 연구기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종사 인력은 약 2만 4천명이며, 운영예산은 약 21억 유로(2016)이다. 예산의 약 70%는 산업계 및 공공부문과의 외부 계약 연구사업으로 조달되고, 나머지 30%는 연방 및 주정부가 90:10으로 분담하고 있다.
이는 다른 공공 연구소들에 비해 정부로부터의 기본재정 지원 비율이 매우 낮으며, 연구비 대부분을 산업계 혹은 공공단체의 수탁 연구에 의존(Fraunhofer Model)하고 있는 것이다.
프라운호퍼 연구협회는 ‘기업가 정신’에 입각한 연구의 시장원리가 적용되어 산하 연구소 간 독립성이 높으며, 최근에는 본부 차원에서 연구소 간 협력 연구가 중시되고 잇다.
주요 연구분야로는 전자공학, 생산기술, 에너지, 환경처리공정, 센서기술 및 경제 등이다.
3) 헬름홀츠 연구협회(HGF: Hermann von Helmholtz Gemeinschaft Deutscher Forschungszentren)
1958년 창설되엇으며, 2001년 독립적인 대형 연구센터들이 연합하여 발족하고 본에 그 본부를 두었다. 보건, 지구환경, 에너지, 우주, 교통, 재료 등 6개 중점연구 분야에서 18개 연구센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장기적이고 학제적 연구 수행 및 가속기 등 대형 연구 장비로 운영되고 있다.
종사 인력은 약 3만 7천 명으로 운영예산은 약 39억 유로(2016)이다. 예산의 약 70%를 연방 및 주정부가 90:10으로 분담하고, 나머지 30%는 외부 수탁으로 조달하고 있다.
주요 연구분야로는 극지 및 해양, 입자물리, 암, 우주항공, 핵물리, 원자력, 생명공학, 환경 및 보건, 중이온, 플라즈마 등이 있다.
4) 라이프니츠 연구협회(WGL : Wissenschaftsgemeinschaft Gottfried Wilhelm Leibniz)
1997년 발족되어 인문, 경제·사회, 생명과학, 수학·자연과학·공학, 환경 등 5개 연구 분야에서 91개 연구기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부는 베를린에 있다.
종사 인력 약 1만 8천명이며, 운영예산은 약 17억 유로(2016)이다. 예산은 연방 및 주정부가 50:50으로 분담하고 있다.
주요 연구분야로는 인문·사회과학, 경제학, 교육학, 의학, 생물학, 자연과학, 정보·문헌학, 도서관학 등이다.
1249호 29면, 2022년 1월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