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운동 103주년 및 3월 8일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베를린 소녀상 앞에서 뜻깊은 행사가 열린다. 3.1 운동과 여성의 날 조합이라니 문득 그 둘의 공통분모가 궁금해진다. 한국인들에게 3.1 운동은 조건반사적으로 유관순의 이름을 연상시킨다. 후대의 역사 기록을 통해 유관순은 “민족의 누이”이자 “독립운동의 꽃”으로 오랜 동안 상징화되어 온 까닭이다. 하지만 최근 들어 3.1운동을 비롯한 항일독립운동에서의 여성들의 역할이 재조명되고 있다. 남성들의 조력자로서가 아닌, 운동가로서의 주체로 그동안 남성독립운동가에 가려져 있던 인물들이 발굴되고 그에 따른 학계의 연구작업도 활발해졌다. 이에 따라 유관순을 비롯한 수많은 여성들-특히 십대 소녀, 기생, 백정의 아낙, 가정주부들-이 만세 운동을 주도했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3.1운동을 여성사의 관점에서 새롭게 해석하기도 한다.
한편 평화의 소녀상은 전세계적으로 전시 여성 성폭력의 상징으로 알려져 있지만 일본 측과의 장기간의 갈등으로 인해 한국 사회에서조차 반일 및 민족주의적 상징으로만 읽히기도 한다. 소녀상은 이러한 차원이 아니라 식민주의의 비인간성을 비판하며, 가부장적 사회 구조가 만들어낸 여성의 몸에 대한 범죄에 또다시 침묵을 강요하는 것에 반대하는 의미가 더 크다.
게다가 현재 독일사회는 <훔볼트 포럼> 박물관 개관 및 독일-나미비아협정, ‚블랙 라이프스 매터‘ 운동의 여파로 인해 탈식민주의와 반식민주의 운동이 거세게 일고 있다. 이에 따라 소녀상을 둘러싼 문제 역시 탈식민주의의 연장선상에서 보편적인 정의와 여성인권을 위한 저항 운동임이 새삼 주목받고 있다.
이 집회에서는 다양한 단체들이 참여하여 과거와 현재의 페미니스트 투쟁과 반식민주의 저항 운동 사례를 소개한다. 집회를 주관하는 <일본군 위안부 행동>은 한국 여성들의 최초의 정치운동이라 평가할 수 있는 3.1 운동을 반식민주의에 저항한 비폭력 운동이자 한국 페미니즘 투쟁의 기원이라 보고 이를 독일사회에 소개할 예정이다.
또한 일본군 ‚위안부‘문제는 아직도 해결되지 않은 식민지배 청산의 문제이며, 한국의 여성운동을 통해 피해 여성들이 침묵하지 않고 평화인권운동가로 변모한 사례 등을 소개한다.
현재 일본 정부는 독일의 주요 도시 관련자들에게 연락을 취해 소녀상을 세우지 못하도록 하고 있으며, 일본 극우들은 독일인과 한국인의 이름을 사용한 가짜 메일을 연일 독일기관에 뿌려 관련자들의 업무를 방해하고 있다. 집요한 방해에도 불구하고 소녀상 존치 열쇠를 쥐고 있는 베를린 미테구청과 미테구 소속 의원들이 끝까지 소녀상을 지켜낼 수 있도록 시민들의 결집된 힘을 보여줄 때다.
전 세계 페미니스트 반식민지 저항운동!
-때: 2022년 3월 1일(화) 오후 5시
-곳: 베를린 평화의 소녀상, Ecke Birkenstraße / Bremer Straße in Moabit
-주최: AG “Trostfrauen” (“일본군 위안부”행동) & 친구들
-문의: mail@koreaverband.de
1256호 12면, 2022년 2월 2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