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독일한국교육원 2024년 상반기 “한국 문화 나눔의 날” 행사 개최

프랑크푸르트. <주독일한국교육원 2024년 상반기 한국 문화 나눔의 날 행사>가 7월 13일 11시 30분부터 프랑크푸르트 소재 프랑크푸르트한국문화회관에서 진행되었다. 이날 행사는 100여 명이 모인 가운데 Raul Guerrero Plaza씨와 Anna Maria Schenck씨의 사회로 진행되었다.

이지선 원장의 환영사가에서 참석자들에게 감사와 축하의 말을 전하며, 앞으로도 더욱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하였다. 이어 개근상 수여식이 진행되었는데, 총 16명의 수강생이 개근상을 수상하였다.

개근상 수상식을 마친 뒤 본격적인 “한국 문화 나눔의 날” 행사가 시작되었는데, 이번 문화 행사는 수강생들의 발표회, 한꾸 및 한국문화에 대한 퀴즈, 전통놀이 투호, 달고나 체험, 한복 및 한식 체험으로 구성되었다.

수강생 발표로는 한국 동요 ‘나비야’와 “토마토” 그리고 “Our Summer” 합창이 있었고, 이어 한국 실생활과, 역사, 지리 등 다양한 분야의 한국 관련 퀴즈 게임이 진행되었다. 퀴즈게임에는 참석자 모두가 적극적으로 참여하였고, 정답을 맞힌 수강생에게는 교육원에서 준비한 선물이 주어졌다.

퀴즈게임을 마치고 발표시간에는 수강생이 나와 한국어로 “저의 한국어 공부이야기”, “나의 한국 여행”, 문화비교“ 가 발표되었다. 수강생들의 발표는 그 구성이나 내용면에서 기대 이상의 수준을 보여주어, 참석자들에게 깊이 있는 한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저의 한국어 공부이야기” 에서는 한국어를 배우게 된 동기와 시작, 그리고 어려웠던 점, 현재 공부방법 등이 소개되었으며, “나의 한국 여행”에서는 발표자가 사진과 동영상을 준비하여 매우 실감나는 한국여행기를 들려주었다.

한편 “문화비교” 발표에서는 한국의 인사예절, 식사 예절, 존칭어 사용 등을 독일과 비교하며, 그 차이와 장단점을 알기 쉽게 전달해 주었다.

발표시간 순서를 마친 뒤에는 한국 전통놀이인 ‘투호’에 대해 한 수강생이 상세히 설명하였다. 발표자는 투호놀이는 “서울의 양반가정이나 궁중에서 하던 놀이인데, 명절날이나 집안에 큰 잔치가 있어 일가 친척이 많이 모일 때 여흥으로 하는 우아하고 예절을 바탕으로 한 놀이이다”라고 설명하여, 이날 행사에 참석한 몇몇 한국인들을 놀라게 하였다.

투호설명을 마친 발표자는 이어 ‘달고나’에 대한 설명도 이어갔는데, 달고나를 만드는 사진을 보여주며 “ 이 사람들이 무엇을 하는지 아시나요?” 라고 질문을 한 뒤, 달고나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마쳤다.

이로써 공식 행사를 마치고 참석자들은 투호 경기와 “달고나 만들기” 체험 시간을 가졌다. 투호 경기에서, “어렵지 않겠다”는 생각과는 달리 화살이 잘 들어가지 않자 모두들 고개를 갸우뚱 하며, 진지한 모습으로 매 화살에 집중하며, 경기에 임하였다.

“달고나 만들기”체험은 한국어 강좌 강사인 신영주선생이 준비한 가스 버너 3개와 달고나 만들기 도구를 통해 체험시간을 가졌다. 참가자들은 설탕 분량 조절, 눌름판에 달라 븥지 않게 하는 요령 등을 익히며, 즐거운 체험시간을 가졌다.

이어 모두가 기다리던 한식 체험시간이 시작되었고, 참석자들은 떡볶이, 김밥, 잡채, 치킨, 등 한국 음식을 맛보며 즐겁고 따뜻한 시간을 보냈다. 더욱이 수강생 가운데에서는 자신들이 직접 요리한 음식을 식탁에 올려 서로간의 친목을 돈독히 하며는 계기도 되었다.

한식체험과 더불어 행사장에 비치된 한복을 입어보는 “한복 체험”도 함께 진행되며 이날 한국 문화 나눔의 날 행사의 대미를 장식하였다.

이지선 교육원장은 이번 행사를 통해 학생들이 좀 더 한국어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앞으로 한국어 강좌를 계속 수강하고 새로운 학생들이 더 많이 참여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이라고 밝혔다.

또한 이지선 원장은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알리는 것은 모두 연결되어 있으므로 현재 하고 있는 성인 강좌를 포함한 한국어 교육, 한글학교 지원 등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하고 한국어 강좌를 더욱 활성화 시키려고 노력해 왔다고 전했다.

프랑크푸르트 한국문화회관에서 진행되고 있는 교육원 자체 한국어 강좌(Koreanisch-Kurse)는 2024년 상반기 총 14개 강좌 135명이 수강하였으며, 하반기 강좌는 9월 2일 개강한다.

한국어 강좌신청 안내는 교육원 홈페이지(www.keid.or.kr)에서 상시 확인 가능하다.(편집실).

1371호 13면, 2024년 7월 21일